맨위로가기

메트로 마닐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트로 마닐라는 필리핀의 수도권을 의미하며, 16세기 초에 건설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역사적으로 국제 무역의 중심지였으며, 현재는 마닐라, 케손 시티, 칼루칸, 파사이 등 4개의 구역으로 나뉘어 1300만 명 이상의 인구가 거주한다. 경제적으로 필리핀 GDP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금융, 상업, 관광 산업이 발달했다. 자연재해에 취약하며, 지진, 홍수, 태풍의 영향을 받는다. 교육, 문화 시설이 잘 갖춰져 있으며, 대중교통 시스템과 도로망이 발달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의 행정 구역 - 리살주
    리살주는 1901년에 설립되어 필리핀 역사 속에서 행정 구역 변경을 거쳐 현재 1개의 시와 13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된 칼라바르존 지역의 주이며, 구릉지대와 산악지형, 라구나 데 바이 호숫가를 포함하고 메트로 마닐라와 인접하여 경제적으로 발전했지만 지역 간 발전 불균형 문제를 가진 곳이다.
  • 필리핀의 행정 구역 - 라구나주
    라구나주는 필리핀 칼라바르존 지역에 위치하며 라구나 데 바이 호수에서 이름이 유래되었고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여러 역사적 사건을 거쳐 현재는 농업, 산업, 관광을 기반으로 경제를 발전시키고 있는 필리핀 국민 영웅 호세 리살의 출생지이다.
  • 메트로 마닐라 - 파사이
    파사이는 필리핀 메트로 마닐라에 위치한 도시로, 스페인 식민지 시대 농업 지역에서 시작하여 도시로 성장했으며,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 상원, 대규모 상업 시설 등이 위치해 있다.
  • 메트로 마닐라 - 케손시티
    케손시티는 마닐라 과밀화 해결을 위해 계획적으로 건설되었으나 주택 가격과 교통 문제로 목표 달성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한때 필리핀 수도이자 주요 기관과 대학이 위치한 역사적 중심지이며, 현재는 290만 이상의 인구를 가진 도시이다.
  • 필리핀의 지방 - 다바오 지방
    다바오 지방은 필리핀 민다나오섬 남동부에 위치하며, 5개의 주와 다바오시로 구성되어 있고, 농업, 무역, 관광의 중심지이며, 세부아노어를 주로 사용하고 기독교가 다수를 차지한다.
  • 필리핀의 지방 - 비콜 지방
    비콜 지방은 필리핀 루손섬 남부에 위치하며 6개의 주로 이루어져 있고 화산 활동이 활발하며 로마 가톨릭교회의 영향력이 강하고 농업과 어업이 발달했으며 매운 요리가 특징적이다.
메트로 마닐라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마닐라 수도권의 위치
마닐라 수도권의 위치
필리핀 내 위치
필리핀 내 위치
메트로 마닐라 스카이라인
"시계 방향 (위에서부터): 마카티 중심 업무 지구, 산티아고 요새, 필리핀 문화 센터, 보니파시오 글로벌 시티, 케손 기념 서클, 오르티가스 센터"
마카티 CBD
마카티 중심 업무 지구
파세오 데 록사스
파세오 데 록사스
루네타 공원으로 알려진 리잘 공원
리잘 공원
케손 기념 성지
케손 기념 성지
밤의 오르티가스 센터
오르티가스 센터
국립 미술관
국립 미술관
탕할랑 팜반사
탕할랑 팜반사
모누멘토
모누멘토
마닐라 대성당
마닐라 대성당
기본 정보
정부
정부 형태광역 정부, 분권화된 체제 하
행정 기관메트로 마닐라 개발청
메트로 마닐라 개발청 의장로만도 아르테스 (대행)
메트로 마닐라 의회 의장프란시스 자모라
면적
총면적636.00 km²
인구
총인구 (2020년)13,484,462명
인구 밀도21,191.0명/km²
도시권 인구26,700,000명
인구 통칭영어: 마닐라인, 스페인어: manilense, manileño(-a), 필리핀어: 마닐레뇨(-a), 마닐렌요(-a), 타가-마닐라
경제
GDP (명목, 2023년)1,361억 2천만 달러
1인당 GDP (2023년)10,108 달러
기타 정보
언어필리핀어 (공용어 및 링구아 프랑카)
타갈로그어 (모국어)
영어
기타 언어
인간 개발 지수 (HDI)0.85 (매우 높음)
HDI 순위 (2019년)2위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시간대필리핀 표준시 (PST)
UTC 오프셋+8

2. 역사

마닐라는 16세기 초 중세 시대에 건설되었을 가능성이 높다.[10] 지명에 사용된 "nila"는 산스크리트어로 "인디고"를 의미하며,[11] 15세기 후반에서 16세기 초 사이에 태어난 마닐라의 옛 왕 라자 마탄다 통치 시대에 널리 사용되었다.

마닐라는 역사적으로 국제 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기 때문에 글로벌 도시였다. 15세기와 16세기에는 성벽으로 둘러싸인 요새 도시였으며 루손 왕국의 수도였다. 당시 동남아시아 대부분 지역에서처럼 말레이어가 외교에 널리 사용되었다. 현재의 메트로 마닐라 지역에는 톤도( ''Tundun''), 말라떼( ''Maalát''), 나보타스( ''Nabútas''), 탐보봉( ''Tambúbong''), 타기그( ''Tagiig''), 파라냐케( ''Palanyág'') 및 카인타( ''Kay Intâ'')와 같이 독립적이거나 조공 관계에 있는 여러 영지가 있었다.[12] 1500년대 일부 루손 사람들은 다른 왕국에서 용병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1570년대까지 마닐라의 지배 계급과 국제적인 루손 상인들은 무슬림이었다.

1570년 5월 24일, 왕세자 술레이만이 지휘하는 루손 왕국과 마르틴 데 고이티 원수가 이끄는 일부 외국군의 지원을 받은 스페인 왕국 사이에 마닐라 전투가 벌어졌다. 이 전투는 마닐라의 방화와 파괴로 이어졌다.[12]

스페인은 마닐라를 파괴한 후 같은 지역에 정착지를 건설하여 스페인 통치자를 위한 영토를 확보했다. 처음에는 나무로 둘러싸였고, 이후에는 돌로 둘러싸인 마닐라의 새로운 성벽 도시는 스페인 동인도 제도의 수도가 되었다. 정착지를 건설하고 외부로 영토를 확장한 후, 스페인은 마닐라 주를 설립했다.[12] 이후, 마닐라 갈레온(Manila galleon)은 태평양을 오가며 아시아 상품과 문화 교류를 멕시코(Mexico)로 가져왔다.

미국 통치 시대에 마닐라 주는 해체되었고, 1901년 대부분 리살 주에 편입되었다.[15] 1901년 마닐라는 빈온도(Binondo), 에르미타(Ermita), 인트라무로스(Intramuros), 말라테, 판다칸(Pandacan), 키아포, 삼팔록 등으로 구성되었다.[16] 미국의 건축가 다니엘 번햄(Daniel Burnham)은 필리핀 정부를 위해 마닐라 계획을 제안하도록 위촉되었다.

1939년, 필리핀 코먼웰스 시대에 마누엘 케손 대통령은 마닐라를 대체할 수도로 케손 시를 건설하기로 결정했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1945년 마닐라 전투에서 10만 명이 넘는 사상자가 발생했고, 번햄의 설계에 따른 대부분의 개발 계획도 파괴되었다.

1942년,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마누엘 케손 대통령은 긴급 조치로 마닐라와 케손시티를 비롯한 주변 지역을 합병하여 대마닐라 시(City of Greater Manila)를 설립했다.[17] 호르헤 바르가스가 초대 시장으로 임명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인 1945년, 세르히오 오스메냐 대통령은 대마닐라 시를 해체하는 58호 행정명령에 서명했다.[18]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은 1975년 11월 7일 대통령령 제824호를 통해 메트로 마닐라를 공식적으로 설립하고, 이 지역을 관리하기 위해 메트로 마닐라 위원회(Metropolitan Manila Commission)를 설치했다.[6] 마르코스는 자신의 부인 이멜다 마르코스를 초대 메트로 마닐라 주지사로 임명했다. 1978년, 메트로 마닐라는 필리핀의 국립 수도 지역(National Capital Region)으로 선포되었다.[19]

이멜다 마르코스는 "인간의 도시(City of Man)" 캠페인을 시작하여 필리핀 문화센터 단지, 민속 예술 극장, 필리핀 국제 컨벤션 센터 등의 시설을 건설하였다.

1976년, 대통령령 제940호를 통해 필리핀의 수도는 마닐라로 재지정되었다. 이 법령은 마닐라가 필리핀 국민과 전 세계의 눈에 항상 필리핀의 주요 도시였으며, 무역, 상업, 교육 및 문화의 중심지였다고 명시하고 있다.[20]

마르코스 대통령은 1986년 EDSA 혁명으로 축출되었다.[21] 1986년, 코라손 아키노 대통령은 메트로 마닐라 위원회를 개편하고 메트로 마닐라청(MMA)으로 개명했다. 이후 1995년 현재의 메트로 마닐라 개발청(MMDA)으로 재편되었다.

1988년, 노동고용부(DOLE)와 국가 통계청에 따르면 전국 지역 중 실업률이 가장 높은 곳은 메트로 마닐라였다.[23][24]

2014년, 프랜시스 톨렌티노는 산 페드로를 메트로 마닐라의 18번째 도시로 포함시킬 것을 제안했다.[25] 2022년, 마카티타기그와의 영토 분쟁에서 패소하였다.[28][29][30]

2. 1. 마닐라 성립 이전

마닐라는 16세기 초 중세 시대에 건설되었을 가능성이 높다.[10] 지명에 쓰인 "nila"는 산스크리트어로 "인디고"를 뜻하며,[11] 15세기 후반에서 16세기 초 사이에 태어난 마닐라의 옛 왕인 라자 마탄다 통치 시대에 이 지명이 널리 사용되었다.

1570년 마닐라 지도. 노란색으로 표시된 지역이 마닐라 정치체의 영역이다.


마닐라는 역사적으로 국제 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기 때문에 글로벌 도시였다. 15세기와 16세기에는 성벽으로 둘러싸인 요새 도시였으며 루손 왕국의 수도였다. 마닐라의 제도, 정부, 경제는 타갈로그족과 팜팡가족과 관련이 있었으며, 당시 동남아시아 대부분 지역에서처럼 말레이어가 외교에 널리 사용되었다.

현재의 메트로 마닐라 지역에는 톤도( ''Tundun''), 말라떼( ''Maalát''), 나보타스( ''Nabútas''), 탐보봉( ''Tambúbong''), 타기그( ''Tagiig''), 파라냐케( ''Palanyág'') 및 카인타( ''Kay Intâ'')와 같이 독립적이거나 조공 관계에 있는 여러 영지가 있었다.[12]

1500년대 일부 루손 사람들은 다른 왕국에서 용병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1570년대까지 마닐라의 지배 계급과 국제적인 루손 상인들은 무슬림이었고 이슬람은 자유민과 노예들을 통해 확산되었다.

2. 2. 스페인 통치 시대

스페인은 마닐라를 파괴한 후 루손 섬의 같은 지역에 스페인 통치자를 위한 영토를 확보하기 위해 정착지를 건설했다. 처음에는 나무로 둘러싸였고, 훨씬 후에는 돌로 둘러싸여 마닐라의 새로운 성벽 도시가 스페인 동인도 제국의 수도가 되었다. 정착지를 건설하고 외부로 영토를 확장한 후, 스페인은 마닐라라는 주를 설립했다.[12]

스페인 통치 시대 마닐라주 지도


후에, 마닐라 갈레온(Manila galleon)은 태평양을 계속해서 오가며 아시아 상품과 문화 교류를 멕시코(Mexico)로 가져왔다.

마닐라 주()는 과거 스페인 식민지 이전 시대의 다양한 정치 세력이 지배했던 지역을 포함한다. 여기에는 오늘날 잘 알려진 파시그 강의 삼각주에 위치한 마닐라와 톤도뿐만 아니라, 탐보본, 타기그, 파테로스, 카인타의 요새 도시 등과 같은 작은 거주지도 포함되어 있었다. 그리고 이 지역이 식민지 시대 필리핀의 수도가 되면서, 마닐라(인트라무로스)는 식민 통치의 중심지가 되었다. 1898년 당시 마닐라 시와 다른 23개의 자치체를 포함하고 있었다. 마리키나 또한 1898년부터 1899년까지, 필리핀의 주권이 미국으로 이전되었을 때와 마찬가지로 수도 기능을 했다. 1901년에 주가 해체되고, 그 대부분은 새로 설립된 리살 주에 편입되었다.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마닐라는 세계 도시의 원형으로 여겨졌다. 마닐라 갈레온선은 250년 동안 태평양을 항해하며 고급품, 경제적 이익, 문화 교류 등을 멕시코에 가져다주었다. 이는 상업적으로 이용된 최초의 무역로로 알려져 있다.

2. 3. 제1 필리핀 공화국 시대

제1 필리핀 공화국 시대에 마닐라 주(Province of Manila)는 마닐라 성벽 도시와 23개의 시(Municipality)를 포함했다. 1898년부터 1899년까지는 마리키나(Mariquina)가 주도(Provincial Capital) 역할을 했다. 그러나 필리핀군이 거의 전역을 점령했음에도 불구하고, 마닐라 성벽 도시는 스페인군이 점령하고 있었다.[1]

2. 4. 미국 통치 시대

미국 통치 시대에 마닐라 주는 해체되었고, 1901년 6월 11일 법률 제137호에 따라 대부분 리살 주에 편입되었다.[15] 현재의 메트로 마닐라 지역에서는 칼룩칸(Caloocan), 라스피냐스(Las Piñas), 마리키나, 파시그(Pasig), 파라냐케(Parañaque), 말라본(Malabon), 나보타스(Navotas), 산 후안 델 몬테, 산 페드로 데 마카티, 산 펠리페 네리, 문틴루파(Muntinlupa), 타구이그(Taguig)-파테로스(Pateros) 지역이 리살 주에 편입되었으며, 파시그가 주도가 되었다. 반면, 폴로(현 발렌술아)는 불라칸(Bulacan)에 남았다.

1901년 마닐라는 빈온도(Binondo), 에르미타(Ermita), 인트라무로스(Intramuros), 말라테, 판다칸(Pandacan), 키아포, 삼팔록, 산 페르난도 데 딜라오, 산 미구엘, 산 니콜라스, 산타 아나 데 사파, 산타 크루즈, 톤도로 구성되었다.[16]

미국 통치 시대에, 미국의 건축가(architect) 다니엘 번햄(Daniel Burnham)은 필리핀 정부를 위해 마닐라 계획을 제안하도록 위촉되었다.

2. 5. 필리핀 코먼웰스 시대

1939년, 필리핀 코먼웰스 시대에 마누엘 케손 대통령은 마닐라를 대체할 수도를 목표로 케손 시를 설립했다. 케손 시 설립은 번햄이 설계한 마닐라 도시 계획의 폐기와 동의어였고, 기존 자금은 신 수도 건설에 사용되었다.[2]

니콜스 비행장과 마닐라 시가지(1941년)

2. 6. 일본 침략과 제2 필리핀 공화국 시대

1942년부터 1945년까지 존재했던 대마닐라 시 지도


1942년,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필리핀 대통령 마누엘 케손은 긴급 조치로 마닐라와 케손시티를 비롯하여 칼루칸(Caloocan), 마카티, 만달루용, 파라냐케, 파사이, 산 후안 시정촌을 합병하여 대마닐라 시(City of Greater Manila)를 설립했다.[17] 초대 시장으로는 호르헤 바르가스가 임명되었다. 대마닐라 시에 포함된 도시와 시정촌의 시장들은 보조 시장직을 맡았다. 이는 행정 문제에 대한 케손의 주요 부관인 바르가스가 국제 군사법에 따라 인정되는 권위 있는 직책을 갖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다. 대마닐라 시는 현재의 메트로 마닐라와 마르코스 정부 시절 설립된 메트로 마닐라 주지사의 행정 기능의 모델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인 1945년, 세르히오 오스메냐 대통령은 대마닐라 시를 해체하는 58호 행정명령에 서명했다.[18]

2. 7. 제3 필리핀 공화국 시대



1942년,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필리핀 대통령 마누엘 케손은 긴급 조치로 마닐라와 케손 시티를 비롯하여 칼루칸(Caloocan), 마카티, 만달루용(Mandaluyong), 파라냐케(Parañaque), 파사이(Pasay), 산후안(San Juan) 시정촌을 합병하여 대마닐라 시(City of Greater Manila)를 설립했다.[17] 호르헤 바르가스가 초대 시장으로 임명되었다. 대마닐라 시에 포함된 도시와 시정촌의 시장들은 보조 시장직을 맡았다. 이는 행정 문제에 대한 케손의 주요 부관인 바르가스가 국제 군사법에 따라 인정되는 권위 있는 직책을 갖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다. 대마닐라 시는 현재의 메트로 마닐라와 마르코스 정부 시절 설립된 메트로 마닐라 주지사의 행정 기능의 모델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인 1945년, 세르히오 오스메냐 대통령은 대마닐라 시를 해체하는 58호 행정명령에 서명했다.[18]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1945년 마닐라 전투에서 10만 명이 넘는 사상자가 발생했다. 번햄(Burnham)의 설계에 따른 대부분의 개발 계획도 파괴되었다. 그 후 1948년 케손 시티가 수도(national capital)로 선포되었고, 이후 칼루칸(Caloocan), 마리키나, 산 마테오의 관할 구역이었던 지역으로 확장되었다.

2. 8. 계엄령 하의 메트로 마닐라 재설립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은 1975년 11월 7일 대통령령 제824호를 통해 메트로 마닐라를 공식적으로 설립하고, 이 지역을 관리하기 위해 메트로 마닐라 위원회(Metropolitan Manila Commission)를 설치했다.[6] 마르코스는 자신의 부인이자 영부인인 이멜다 마르코스를 초대 메트로 마닐라 주지사로 임명했다. 1978년 6월 2일, 대통령령 제1396호를 통해 메트로 마닐라는 필리핀의 국립 수도 지역(National Capital Region)으로 선포되었다.[19]

이멜다 마르코스는 "인간의 도시(City of Man)" 캠페인을 시작했다. 이 캠페인을 통해 필리핀 문화센터 단지, 민속 예술 극장, 필리핀 국제 컨벤션 센터, 코코넛 궁전, 필리핀 폐병센터, 필리핀 심장센터, 필리핀 신장 센터와 같은 의료 시설이 건설되었다.

메트로 마닐라 설립 당시에는 마닐라, 케손 시티, 칼룩칸, 파사이의 4개 도시와 라스피냐스, 마카티, 말라본, 만달루용, 마리키나, 문틴루파, 나보타스, 파라냐케, 파시그, 파테로스, 산후안, 타기그, 발렌수엘라의 13개 시(Municipalities)가 포함되었다. 현재는 파테로스를 제외한 모든 지역이 독립적인 특허 도시가 되었다.

1976년, 대통령령 제940호를 통해 필리핀의 수도는 마닐라로 재지정되었다. 이 법령은 마닐라가 필리핀 국민과 전 세계의 눈에 항상 필리핀의 주요 도시였으며, 무역, 상업, 교육 및 문화의 중심지였다고 명시하고 있다. 반면, 당시 새롭게 형성된 지역은 정부의 정부 청사로 지정되었다.[20]

2. 9. 제4 필리핀 공화국 시대

1975년 11월 7일,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정권 시절 대통령령 제824호에 따라 수도 행정 기능을 담당하는 마닐라 수도권이 설립되었다. 전신인 는 19세기 말 필리핀에서 스페인 식민 지배에 맞서 봉기한 최초의 8개 주 중 하나이다. 초대 주지사는 이멜다 마르코스였다. 1986년 코라손 아키노 대통령령 제392호에 따라 권한이 변경되었고, 1995년 개편되어 현재의 마닐라 수도권 개발청(MMDA)이 설립되었다. 이는 정부 기관으로, 청장은 대통령이 임명하며 도로 교통 및 도시 계획 등을 담당[157]한다. 마닐라 수도권 자체는 행정 기관 및 행정 구역이 아니다.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은 1986년 2월 말 4일간 지속된, EDSA(에피파니오 데 로사레스 대로)에서 일어난 비폭력 혁명으로 축출되었다. 이 인민봉기는 현재 피플파워 혁명으로 알려져 있으며, "세계를 놀라게 한 혁명"으로 국제적인 헤드라인을 장식했다.[21]

2. 10. 제5 필리핀 공화국 시대

1986년, 코라손 아키노 대통령은 392호 행정명령을 통해 메트로 마닐라 위원회의 구조를 재편하고 메트로 마닐라청(Metropolitan Manila Authority)으로 개명하였다. 메트로 마닐라의 시장들은 그들 중에서 기관장을 선출하였다.[22] 이후 1995년 7924호 공화국 법률을 통해 현재의 메트로 마닐라 개발청으로 재편되었으며, 기관장은 대통령이 임명하고 시장과 같은 선출직을 겸직할 수 없게 되었다. 엘프렌 크루즈는 메트로 마닐라의 마지막 직무대행 총재였다.[22]

1988년, 노동고용부(DOLE)와 국가 통계청에 따르면 전국 지역 중 실업률이 가장 높은 곳은 메트로 마닐라였으며, 해당 지역 노동 인구의 20.1%가 실업 상태였다.[23][24]

2014년 당시 MMDA 의장인 프랜시스 톨렌티노는 산 페드로를 메트로 마닐라의 18번째 도시로 포함시킬 것을 제안하였다. 톨렌티노는 2015년 1월 MMDA 시장 협의회 첫 회의에서 해당 도시의 MMDA 편입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하였다.[25] 아킬리노 "코코" 피멘텔 3세 상원의원은 법안이 통과될 경우 차기 국정 및 지방 선거부터 산 페드로를 별도의 선거구로 만들려는 3029호 상원 법안을 제출하였다.[26][27]

2022년 4월, 마카티는 타기그와의 영토 분쟁에서 패소하였으며, 그 판결은 1년 후인 2023년 4월 확정되었다. 엠보 지역을 포함한 10개의 바랑가이가 타기그로 이관되었다.[28][29][30]

3. 지리

메트로 마닐라(수도권)는 지형적으로 중앙 고원, 연안 저지대, 마리키나 계곡의 세 지역으로 나뉜다.


파시그강-마리키나 강 유역 지도


메트로 마닐라는 루손 남서쪽에 위치하며, 서쪽 파식강 어귀에서 동쪽 마리키나 계곡의 높고 험준한 지역까지 이어지는 평평한 충적 평야에 자리 잡고 있다.

해안 저지대는 마닐라 만을 향하는 평평하고 낮은 평야이다. 마닐라, 나보타스, 일부 말라봉, 파사이파라냐케의 서쪽, 그리고 간척 지역이 있으며, 지면 고도는 마닐라 만의 0m에서 만달루용마카티 도시 서쪽의 5m까지 다양하다. 해안 저지대는 연안 어업과 어장 개발에 필요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지역의 다양한 간척 사업은 복합 용도의 도시 개발을 위한 것이다.

중앙 고원은 견고한 지리적 기반과 루손의 다른 지역과 연결된 기존 인프라 덕분에 도시 개발 활동에 가장 적합하다. 주로 주거 지역이며, 산 후안, 마카티, 퀘존 시티와 같은 메트로 마닐라의 인구 밀집 지역과 칼루칸, 만달루용의 대부분을 포함한다. 지면 고도는 20m에서 40m 사이이며 서쪽으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고, 고원의 북서쪽에서는 70m에서 100m 사이이다. 파식강을 따라 좁아진다.

마리키나 계곡은 마리키나 강을 따라 있는 범람원이자 라구나 드 바이를 따라 있는 삼각주이다. 고도는 라구나 드 바이 쪽에서는 2m에서 북쪽 몬탈반 쪽에서는 30m까지 다양하다. 리살의 중앙 고원과 산으로 둘러싸여 있다. 농작물 재배에 적합한 비옥한 토지가 있으며, 마리키나 강은 산업 용수와 배출에 사용된다.

라구나 저지대는 농업과 양식업뿐만 아니라 산업 활동에도 적합하다.[31]

3. 1. 자연재해

2009년 케트사나 태풍(온도이 열대폭풍)으로 인한 홍수로 메트로 마닐라에서만 484명이 사망했다.


메트로 마닐라는 지진, 홍수, 태풍과 같은 여러 가지 자연재해에 노출되어 있다. 메트로 마닐라 주변에는 마리키나 계곡 단층계를 포함하여 단층이 활성화되어 있다.[32] 필리핀 단층, 루방 단층(Lubang Faults), 마닐라 해구, 카시구란 단층(Casiguran Faults)과 같이 멀리 떨어진 단층들 또한 위협이 된다.[32]

특히 발렌수엘라, 말라본, 칼룩칸, 나보타스, 마닐라, 파사이, 파라냐케, 라스피냐스와 같은 저지대 지역에서는 마닐라 만의 조류와 관련하여 매년 홍수가 반복적으로 발생한다. 마리키나, 파시그, 타구이그, 파테로스와 같은 내륙 지역도 마리키나 계곡에 위치하고 라구나 호(Laguna Bay)와 가까워 토양 배수가 불량하고 지하수면이 얕아 홍수 발생 위험이 높다.[33]

케손 시티, 산 후안, 마카티, 만달루용, 문틴루파와 같이 화산암이 해발 40m에서 70m까지 상승하는 과달루페 고원(Guadalupe Plateau)을 따라 위치한 도시들은 홍수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다.[33]

매년 5~7개의 태풍이 마닐라를 강타한다. 스위스리에 따르면, 마닐라는 살기에 가장 위험한 수도 도시 순위에서 도쿄 다음으로 두 번째였다.[34]

3. 2. 기후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메트로 마닐라에는 두 가지 기후가 있다. 대부분 지역은 열대 우림 및 건조 기후(Aw)를 가지며, 시에라 마드레 산기슭에 위치한 지역의 북동부는 열대 몬순 기후를 갖는다. 필리핀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마닐라는 열대 지방에 완전히 위치한다. 적도와의 근접성으로 인해 연중 기온이 높으며, 15°C 이하 또는 39°C 이상으로 내려가는 경우는 드물다. 기온 극값은 1914년 1월 11일 14.4°C[35]에서 2024년 4월 27일 38.8°C[36]까지 다양하다.

습도 수준은 일반적으로 연중 매우 높다. 마닐라는 12월부터 4월까지 뚜렷한 건기를 가지며, 나머지 기간은 약간 서늘한 기온과 함께 비교적 긴 우기를 갖는다. 우기에는 하루 종일 비가 오는 경우는 드물지만, 짧은 시간 동안 매우 강한 강우가 내린다. 태풍은 일반적으로 6월부터 9월까지 발생한다.[37]

마닐라 항구 지역 (1981–2010, 극값 1885–2023)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최고 기온 (°C)36.5°C35.6°C36.8°C38°C38.6°C37.6°C37°C35.6°C35.3°C35.8°C35.6°C34.6°C38.6°C
평균 최고 기온 (°C)29.6°C30.6°C32.1°C33.5°C33.2°C32.2°C31.2°C30.8°C31°C31.1°C30.9°C29.8°C31.3°C
평균 기온 (°C)26.7°C27.4°C28.7°C30.1°C30°C29.3°C28.5°C28.3°C28.4°C28.4°C28°C27°C28.4°C
평균 최저 기온 (°C)23.8°C24.2°C25.3°C26.6°C26.9°C26.4°C25.9°C25.8°C25.7°C25.7°C25.1°C24.2°C25.5°C
최저 기온 (°C)14.5°C15.6°C16.2°C17.2°C20°C20.1°C19.4°C18°C20.2°C19.5°C16.8°C15.7°C14.5°C
강수량 (mm)17.3mm14.2mm15.8mm23.7mm147.2mm253.5mm420.5mm432.4mm355.1mm234.8mm121.7mm67.4mm2103.6mm
평균 강수일수 (0.1 mm 이상)4334101721212017127139
평균 상대 습도 (%)72696766717679818078757474
평균 일조 시간1771982262582231621331331321581531522105
출처 1: PAGASA[38][39]출처 2: 덴마크 기상 연구소 (햇빛, 1931–1960)[40]



파사이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 1981–2010, 극값 1947–2024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최고 기온 (°C)35.8°C35.1°C36.5°C38.8°C38.1°C38°C36.4°C35.2°C34.9°C36°C35.8°C34.2°C38.8°C
평균 최고 기온 (°C)30.2°C31°C32.5°C34.1°C33.8°C32.5°C31.3°C30.8°C31°C31.1°C31.1°C30.2°C31.6°C
평균 기온 (°C)26.1°C26.7°C28°C29.5°C29.7°C28.8°C28°C27.7°C27.8°C27.7°C27.4°C26.5°C27.8°C
평균 최저 기온 (°C)22°C22.5°C23.6°C25°C25.5°C25.1°C24.6°C24.6°C24.6°C24.3°C23.7°C22.7°C24°C
최저 기온 (°C)14.8°C14.6°C16°C18.7°C19.1°C20°C18.3°C17.4°C19.1°C18°C17.2°C16.3°C14.6°C
강수량 (mm)6.8mm4.2mm4mm16mm70.4mm265.2mm316.7mm418.4mm255.2mm283.4mm99mm28.6mm1767.8mm
평균 강수일수 (0.1 mm 이상)21116141619161483101
평균 상대 습도 (%)75726867727781838380787676
출처: PAGASA[41][42]



케손 시티 과학 정원 (1981–2010, 극값 1961–2024)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최고 기온 (°C)34.7°C35.6°C36.8°C38.2°C38.5°C38°C36.2°C35.8°C35.4°C35.4°C35°C34.7°C38.5°C
평균 최고 기온 (°C)30.6°C31.7°C33.4°C35°C34.7°C33.1°C31.9°C31.3°C31.6°C31.6°C31.4°C30.5°C32.2°C
평균 기온 (°C)25.7°C26.3°C27.8°C29.4°C29.7°C28.8°C28°C27.8°C27.8°C27.6°C27.1°C26°C27.7°C
평균 최저 기온 (°C)20.8°C20.9°C22.1°C23.7°C24.7°C24.6°C24.1°C24.2°C24°C23.5°C22.7°C21.6°C23.1°C
최저 기온 (°C)15.5°C15.1°C14.9°C17.2°C17.8°C18.1°C17.7°C17.8°C20°C18.6°C15.6°C15.1°C14.9°C
강수량 (mm)18.5mm14.6mm24.8mm40.4mm186.7mm316.5mm493.3mm504.2mm451.2mm296.6mm148.8mm78.7mm2574.4mm
평균 강수일수 (0.1 mm 이상)4345121822232218148153
평균 상대 습도 (%)76736967727983848483827978
출처: PAGASA[43][44]


4. 행정 구역

자치구인구 (2020)면적 (km2)인구밀도 (/km2)시 승격 (년)칼루칸(Caloocan)1,661,58455.8km2PD/km2}}1962라스피냐스(Las Piñas)606,29332.69km2PD/km2}}1997마카티(Makati)629,61621.57km2PD/km2}}1995말라본(Malabon)380,52215.71km2PD/km2}}2001만달루용(Mandaluyong)425,7589.29km2PD/km2}}1994마닐라(Manila)1,846,51342.34km2[59]PD/km2}}1571마리키나(Marikina)456,05921.52km2PD/km2}}1996문틴루파(Muntinlupa)543,44539.75km2PD/km2}}1995나보타스(Navotas)247,5438.94km2PD/km2}}2007파라냐케(Parañaque)689,99246.57km2PD/km2}}1998파사이(Pasay)440,65613.97km2PD/km2}}1947파시그(Pasig)803,15948.46km2PD/km2}}1995파테로스(Pateros)65,2271.66km2[60]PD/km2}}1909 (시가 아님)퀘손 시티(Quezon City)2,960,048171.71km2PD/km2}}1939산 후안(San Juan, Metro Manila)126,3475.95km2PD/km2}}2007타기그(Taguig)886,72247.28km2PD/km2}}2004발렌술아(Valenzuela, Metro Manila)714,97847.02km2PD/km2}}1998합계13,484,462636km2PD/km2}}



메트로 마닐라의 행정 및 통치 체계는 1991년 지방자치법(공화국 법률 제7160호)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이 법은 필리핀 내 모든 지방정부 단체(LGUs)의 권한과 책임을 규정한다. 이 법에 따라 각 지방 정부는 상당한 자치권을 가지며, 이는 여러 자치 단체 간의 정책 조정 및 서비스 제공에 어려움을 야기하기도 한다.

메트로 마닐라 개발청(MMDA)은 메트로 마닐라에서 교통 관리, 쓰레기 수거 등 공공 서비스 제공을 담당하는 기관이다. 2014년에는 메트로 마닐라 지역 행정부(MMRA)라는 새로운 통치 기구를 설립하는 법안이 발의되었으나, MMDA와 달리 경찰 및 기타 일반적인 시 권한을 가지는, 무슬림 민다나오 방사모로 자치구와 유사한 형태였다.[54][55]

메트로 마닐라는 수도권으로서 국가 정부의 중심지이다. 마닐라에는 필리핀 대통령의 공식 관저이자 집무실인 말라카냥궁과 필리핀 대법원이 있다. 파사이에는 필리핀 상원이, 퀘존시에는 필리핀 하원과 산디간바얀이 있다.

최근 산 페드로를 메트로 마닐라에 포함시키려는 움직임이 있다.[66][67] 전 MMDA 의장 프란시스 톨렌티노는 산 페드로를 수도권에 포함시켜 18번째 회원 도시가 되도록 추진하기도 했다.[68]

4. 1. 구역

필리핀의 다른 행정 구역과 달리, 메트로 마닐라는 로 구성되어 있지 않다. 대신, 이 지역은 "구역(Districts)"이라고 불리는 네 개의 지리적 지역으로 나뉜다.[61] 각 구역은 이 지역의 원래 네 개 도시 중 하나를 중심으로 한다. 마닐라(Manila)(수도구역, Capital District), 퀘존시(Quezon City)(동부 마닐라, Eastern Manila), 칼룩칸시(Caloocan)(북부 마닐라, Northern Manila, 비공식적으로 카마나바(Camanava)로도 알려짐), 그리고 파사이시(Pasay)(남부 마닐라, Southern Manila)이다.[62] 이 구역들은 주로 재정 및 통계 목적으로 지역 자치 단체를 조직하는 데 사용된다.

메트로 마닐라의 구역


구역도시/시인구 (2020)면적
수도구역
(제1구역)
마닐라(Manila)1,846,51342.34km2
동부 마닐라 구역
(제2구역)
만달루용(Mandaluyong), 마리키나(Marikina), 파시그(Pasig), 퀘존시(Quezon City), 메트로 마닐라 산후안(San Juan, Metro Manila)4,771,371236.36km2
북부 마닐라 구역 (카마나바)
(제3구역)
칼룩칸(Caloocan), 말라본(Malabon), 나보타스(Navotas), 발렌술아(Valenzuela, Metro Manila)3,004,627126.42km2
남부 마닐라 구역
(제4구역)
라스피냐스(Las Piñas), 마카티(Makati), 문틴루파(Muntinlupa), 파라냐케(Parañaque), 파사이(Pasay), 파테로스(Pateros), 타기그(Taguig)3,861,951208.28km2
메트로 마닐라(Metro Manila)13,484,462636km2


5. 인구 통계

2020년 전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메트로 마닐라의 인구는 13,484,462명이다.[242][243] 메트로 마닐라는 칼라바르손 지방 다음으로 필리핀에서 인구가 많고, 인구 밀도가 가장 높은 지역이며, 아시아에서 7번째로 인구가 많은 대도시권이자 세계에서 4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 지역이다. 메트로 마닐라의 도시 지역은 마닐라 대도시권의 지속적인 도시 확장으로 불라칸주, 카비테주, 라구나주, 바탕가스주로 확장되었으며, 2015년 기준으로 약 24,100,000명으로 추산된다.[3]

2023년 이전까지 메트로 마닐라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도시는 퀘존시티 (2,960,048명), 마닐라 (1,846,513명), 칼루칸 (1,661,584명) 순이었다.

5. 1. 빈곤, 주택 및 도시 빈민가

1980년대부터 현재까지 비공식 거주자는 메트로 마닐라 인구의 약 3분의 1을 차지해 왔다.[71][72] 비공식 거주민 대다수는 중산층에 속한다.[73] 2014년에는 메트로 마닐라에 약 400만 명의 빈민굴 거주자가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노숙 또한 메트로 마닐라의 주요 문제이다.[74] 그러나 이러한 문제들은 도시 내 이주 주택 건설과 인근 바탕가스주, 불라칸주, 카비테주, 라구나, 리살 주에 저밀도 주택을 건설하여 비공식 거주민 가족을 이주시킴으로써 해결되고 있다.[75]

미국 점령 시대 동안 마닐라의 주택 정책은 위생 문제와 상업 지역 주변의 거주민 집중 문제를 다루었다. 1930년대 빈민가 지역의 사업 규정 및 위생 법률이 시행된 것이 그 예이다. 이 기간 동안 1950년대까지 새로운 이주 지역이 조성되었다. 여기에는 퀘손시티의 프로젝트 1~8과 톤도의 비타스 임대 주택이 포함된다. 정부는 1947년 공공 주택 정책을 시행하여 국민 주택 공사(PHHC)를 설립했다. 몇 년 후, PHHC의 도움을 받아 톤도와 퀘손시티의 수천 가구를 1960년대 불라칸주 산호세델몬테의 사팡 팔라이로 이주시킨 빈민가 정리 위원회를 설립했다.[76]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 시대에는 세계은행과 아시아개발은행이 "이주 개발" 및 "현장 개발" 프로그램을 지원했다. 카비테주의 카르모나, 다스마리냐스, 라구나의 산페드로가 이주 지역으로 개방되었다. 국가주택청 설립과 함께 대통령령 772호는 무단 점거를 범죄로 규정하여 필리핀을 무단 점거가 범죄인 두 국가(다른 하나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중 하나로 만들었다.

이멜다 마르코스는 1986년 독재 정권 몰락까지 메트로 마닐라 주지사와 인간 정주 및 생태부 장관(MHSE)을 겸임했다. MHSE는 세계은행의 대출을 통해 메트로 마닐라뿐 아니라 다른 지역에서도 바궁 리푸난 지역 개선 및 서비스(BLISS) 주택 프로젝트를 시작했다.[77][78]

1960년부터 1992년까지 정부는 메트로 마닐라에서 25km 에서 40km 떨어진 이주 지역으로 약 32만 8천 가구를 이전했다. 아시아 주택 권리 연합에 따르면, 코라손 아키노 대통령 시대에는 정부가 매년 약 10만 명을 이주 지역으로 이전했다고 한다. 같은 기간 사팡 팔라이와 카르모나는 60%의 이탈률을 보였다. 의회는 1992년 도시 개발 및 주택법(UDHA)인 공화국 법률 제7279호를 제정했다. 이 법은 무단 점거자에게 새로운 이름인 비공식 거주자를 부여했다.[79]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 대통령 중반기에는 정부의 인프라 프로젝트로 인해 수십만 가구(철도, C-4 도로, C-5 도로 및 보니파시오 요새 주변)가 철거되었다. 같은 기간에 불라칸, 발렌수엘라, 칼루칸에 새로운 이주 지역이 개설되었다.

스모키 마운틴 개발·재생 프로젝트마닐라 톤도에 있는 비공식 거주자들을 위한 도시 내 이주 주택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5. 2. 언어

수도권의 주요 일상 언어는 타갈로그어(필리핀어)이며, 모든 학교에서 필리핀어 수업으로 가르친다. 영어는 학교에서 주로 사용되는 공식적인 교육 언어이자 상업, 산업, 정부의 주요 언어(특히 대부분의 서면)로, 미국 식민 시대 이후로 계속 사용되고 있다. 스페인어는 스페인 식민 시대부터 20세기까지 공식적인 공용어였으나, 현재는 수도권에서 소수의 가족들이 사적으로 사용하거나 일부 학교와 대학교에서 외국어 선택 과목으로 가르치는 것을 제외하고는 거의 소멸 위기 언어가 되었다.

중국계 필리핀인들 사이에서는 호키엔어가 가끔 들리기도 하며, 만다린어는 중국어 수업 또는 일부 학교와 대학교의 외국어 선택 과목으로 가르친다. 또한 지방에서 일하거나 공부하거나 수도권에 거주하는 필리핀 언어 사용자들(예: 세부아노 비사야어, 일로카노어, 힐리가이논어(일롱고), 중앙 비콜어, 차바카노, 팜팡가노어, 팡가시난어, 와라이어)도 가끔 있다.

일본계 필리핀인은 일본어를, 한국계 필리핀인은 한국어를, 이란계 필리핀인은 페르시아어를, 인도계 필리핀인은 펀자브어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수도권에는 마닐라 일본 학교와 같은 몇몇 일본 학교가 있고, 몇몇 학교와 대학교에서 외국어 선택 과목으로 일본어를 가르친다.

수도권의 일부 대학교와 학교에서는 프랑스어, 한국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태국어, 바하사 인도네시아, 포르투갈어, 러시아어 등을 외국어 선택 과목으로 가르치기도 한다. 영어와 필리핀어 외에도, 만다린어(예: 연합보, 월드 뉴스, 중국 상업 뉴스 등), 일본어(예: 마닐라 신문), 한국어(예: 마닐라 서울, 위클리 마닐라, 일요 신문,[80] 등)로 발행되는 신문들이 수도권에서 배포되고 있다.

6. 경제

2023년 기준 수도권은 필리핀 국내총생산의 31.1%를 차지하며,[81] 1인당 GDP는 530945PHP로 전국에서 가장 높다.[82] 2021년 4월 기준 해당 지역의 고용률은 91.3%이다.[78] 브루킹스 연구소에 따르면, 2014년 메트로 마닐라 산업별 생산량 비중은 무역 및 관광 31.4%, 사업/금융 28.6%, 지역/비시장 15.6%, 제조업 12.5%, 운송 4.9%, 건설 4%, 공공요금 2.8%, 원자재 0.3%이다.[83]

필리핀 증권거래소 본사(보니파시오 글로벌 시티, 타구이그)


2015년부터 2017년까지 메트로 마닐라는 마카티, 타구이그, 퀘존시티의 중심 업무 지구에 1.85e6sqm의 사무 공간을 추가할 예정이었는데, 이는 구글HSBC와 같은 글로벌 기업들이 필리핀에서 비즈니스 프로세스 아웃소싱을 추진했기 때문이다.[84] 2014년 말 기준 사무 공간 공실률은 3% 미만으로 낮게 유지되고 있으며,[85] 마닐라는 평균 임대료가 월 평방미터당 22달러로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가장 저렴한 수도이다.[86]

부동산 컨설팅 회사인 존스 랭 라살은 메트로 마닐라를 경제 규모, 광대한 인구, 높은 국내총생산, BPO 특화를 경쟁력으로 꼽아 "글로벌 톱 30" 도시에 선정했다.[87] 또한, 벵갈루루뭄바이에 이어 세계 최고의 비즈니스 프로세스 아웃소싱 목적지 3위를 차지했다.[88] 해외 송금, BPO 및 관광 부문에 힘입어 해당 지역의 소매 부문은 여전히 강세를 유지하고 있다.[89]



역사적으로, 메트로폴리스의 주요 상업 지구는 15세기부터 상업 무역이 번성했던 빈온도였다. 1960년대에 경제 활동은 빈온도에서 마카티로 이동했으며, 이는 마카티를 아시아의 주요 금융 중심지 중 하나로 변모시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빈온도는 해당 지역에 거주하고 사업을 하는 많은 중국인 인구 때문에 문화 및 금융 중심지로 남아 있다.

메트로 마닐라의 최저임금은 농업 부문 근로자의 경우 하루 608PHP (608달러), 비농업 부문 근로자의 경우 하루 645PHP (645달러)이다.[91] 이는 필리핀의 모든 17개 지역 중 가장 높은 최저임금이다.[92] 2018년 11월 25페소 인상이 시행되었다.[93]

명목 임금은 메트로 마닐라의 현재 최저임금으로 알려져 있으며, 필리핀 정부는 이러한 임금을 고정 금액으로 설정했다. 반면, 물가상승률을 고려한 금액이 실질 최저임금으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수도권의 비농업 근로자는 하루 537PHP (537USD)이 아닌 428.23PHP (428.23USD)을 받는다. 물가상승률을 고려하면 마닐라의 농업 근로자(농장 및 비농장 근로자 포함)의 최저 임금은 398.72PHP (398.72USD)이다.

6. 1. 중심 업무 지구

메트로 마닐라는 인문지리학적으로 다핵모형에 속하며, 여러 중심업무지구(CBD)가 존재한다. 가장 두드러진 중심업무지구로는 마카티 중심업무지구, 보니파시오 글로벌 시티, 오르티가스 센터, 빈온도, 필인베스트 시티 등이 있다. 이 지역들에는 아얄라 그룹(Ayala Corporation), 이튼 프로퍼티즈(Eton Properties), 메가월드 코퍼레이션(Megaworld Corporation), SM 프라임 홀딩스(SM Prime Holdings) 등 민간 기업이 소유 및 개발한 많은 복합개발 시설이 있다.

마카티의 아얄라 애비뉴


보니파시오 글로벌 시티의 32번가


파식의 오르티가스 애비뉴


마카티 중심업무지구는 필리핀의 주요 상업 및 금융 중심지이다. 대부분의 다국적 기업, 필리핀 최대 규모의 상업 기업 및 BPO 회사의 본사가 위치해 있다.[94] A급 및 프리미엄 사무 공간 1100000m2가 있으며,[95] 이 지역에서 가장 높은 마천루와 전국에서 가장 높은 마천루가 있다.

보니파시오 글로벌 시티는 메트로 마닐라에서 가장 새로운 업무 지구이며, 주요 금융 및 라이프 스타일 중심지이다. 타기그 북서쪽에 위치하며, 과거 보니파시오 요새로 알려진 군사 기지였다. 기지전환개발청(BCDA)이 이 부지를 민영화했고, 매각 수익금은 필리핀군 현대화에 사용될 예정이었다. 민영화 이후 마인드 박물관과 같은 관광 명소, 고급 상점, 높은 사무용 마천루, 고급 로프트와 콘도미니엄 등을 갖춘 비즈니스 허브로 변모했다. 필리핀 증권거래소가 BGC에 본사를 이전할 예정이기 때문에, 보니파시오 글로벌 시티는 미래에 마카티 중심업무지구를 제치고 필리핀 최고의 금융 중심지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미래 개발을 위한 공간과 토지가 더 많고, 부동산 시장 성장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가장 활동적인 업무 지구이며, 마카티보다 임대 또는 매매 가능한 공간이 더 많다.[95]

오르티가스 센터는 만달루용과 파식에 위치한 중심업무지구이며, 일부는 퀘존시티에도 위치해 있다. EDSA 신사, 샹그릴라 플라자, SM 메가몰이 오르티가스의 랜드마크이다. 더 메디컬 시티의 본원이 오르티가스 센터에 있다. 아시아개발은행, 필리핀 연합은행, 필리핀 국가경제개발청 등 중요한 금융 및 국가 기관이 오르티가스에 본사를 두고 있다. 산미구엘 코퍼레이션, 졸리비 푸즈 코퍼레이션, 로페즈 그룹(Lopez Group of Companies), 마닐라 전기 회사의 본사도 오르티가스에 있다.

6. 2. 쇼핑

글로벌 블루(Global Blue)는 마닐라를 아시아의 "최고 쇼핑 명소" 중 하나로 선정했다.[96][97] 메트로 마닐라는 세계에서 가장 큰 쇼핑몰 중 일부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중 5곳이 세계 20위 안에 있다. 파사이에 있는 SM 몰 오브 아시아는 세계에서 5번째로 큰 쇼핑몰이며, 그 뒤를 이어 퀘존 시티에 있는 SM 시티 노스 EDSA가 13위를 차지했다. 한편, 만달루용에 있는 SM 메가몰은 세계에서 15번째로 큰 쇼핑몰이다. 메트로 마닐라의 다른 중요한 쇼핑몰로는 에버 고테스코 코먼웰스 센터, 페스티벌 슈퍼몰, 그린벨트, 마켓! 마켓!, SM 아우라 프리미어, SM 사우스몰, 트라이노마 등이 있다.

SM 몰 오브 아시아 (2016년)

6. 3. 관광 및 도박

관광은 메트로 마닐라의 매우 중요한 산업이다. 브루킹스 연구소에 따르면, 무역과 관광은 이 지역 산업 생산량의 31.4%를 차지한다.[83] 2012년에는 974,379명의 숙박 관광객을 맞이하여 필리핀 최고의 숙박 관광지가 되었다.[98] 같은 해, 필리핀을 방문하는 국제 관광객 대다수가 메트로 마닐라를 방문했으며, 그 수는 총 3,139,756명이었다.[99]

2015년, 메트로 마닐라에는 4,612개의 호텔 객실이 새로 문을 열었으며, 이후 2년 동안 연간 3,500개 이상의 호텔 객실이 추가될 것으로 예상되었다.[100][101][102]

메트로 마닐라의 도박 또한 인기 있는 관광 명소가 되었다. 메트로 마닐라는 아시아에서 인기 있는 게임 목적지 중 하나이며, 마카오싱가포르와 같은 다른 주요 게임 목적지와 경쟁하고 있다.[103][104][105] 이 지역에는 약 20개의 카지노가 있으며,[106] 고급 카지노 호텔과 복합 리조트를 갖추고 있어 카지노 운영자들에게 매력적인 곳으로 평가받고 있다.[107]

오카다 마닐라는 메트로 마닐라의 복합 카지노 리조트 및 호텔 단지 중 하나이다.


인기 있는 게임 목적지로는 파사이의 뉴포트 시티에 있는 뉴포트 월드 리조트, 솔레어 리조트 & 카지노, 시티 오브 드림 마닐라, 오카다 마닐라, 웨스트사이드 시티 리조트 월드, 그리고 바이 시티, 파라냐케의 엔터테인먼트 시티에 있는 나욘랜딩이 있다.[108]

1604년에 건립된 산 아구스틴 교회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다.


인트라무로스는 현대 마닐라 시 내에 있는 역사적인 성벽 도시이다. 스페인 제국 식민 통치 시대에는 마닐라 자체로 간주되었다. 역사적, 문화적 가치 때문에 인트라무로스리살 공원은 2009년 관광법에 따라 관광 기업 구역이 되는 주력 목적지로 지정되었다.[48]

인트라무로스의 건축 양식은 스페인미국의 식민지배 영향을 받아 스페인 식민지 스타일과 미국의 신고전주의 건축 양식을 반영한다. 칼레사는 인트라무로스와 인근 지역[109](예: 비논도, 에르미타, 리살 공원)에서 인기 있는 교통 수단이다.

인트라무로스의 인기 있는 관광지로는 산 디에고 요새, 클럽 인트라무로스 골프 코스, 산타 루치아 막사, 산티아고 요새, 마닐라 대성당, 대주교궁, 산타 포텐시아나 궁전, 총독 궁전, 멕시코 광장, 로마 광장, 산 아구스틴 교회, 마닐라 시청이 있다.[110]

필리핀에서 가장 오래된 학교 중 일부는 인트라무로스에 설립되었는데, 산토 토마스 대학교(1611년), 산 후안 데 레트란 대학교(1620년), 아테네오 데 마닐라 대학교(1859년)가 있다. 산 후안 데 레트란 대학교만 인트라무로스에 남아 있으며, 산토 토마스 대학교는 1927년에 삼팔록에 있는 새로운 캠퍼스로 이전했고, 아테네오는 1952년에 로욜라 하이츠, 퀘손 시티로 이전했다.

7. 문화 및 현대 생활

메트로 마닐라는 필리핀의 대중문화에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책, 영화,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배경으로 자주 등장한다. 플로레스 데 마요는 메트로 마닐라 전역에서 널리 기념된다. 1976년에 시작된 연례 메트로 마닐라 영화제는 모든 필리핀 영화제의 선구자이다.[112]

가톨릭이 메트로 마닐라의 주요 종교이다.[112] 다른 기독교 교파, 무슬림, 아니티스트, 애니미스트, 그리고 무신론자는 소수이다. 이 지역의 주요 종교 유적지로는 마닐라 대성당, 산 세바스티안 교회, 톤도 교회, 산 아구스틴 교회, 키아포 교회, 바클라란 교회가 있다.

2019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농구 경기 (몰 오브 아시아 아레나)


수도권에는 동남아시아 농구 리그, 필리핀 야구 협회, 필리핀 농구 협회, 마하르리카 필리핀 농구 리그, 필리핀 슈퍼 리그, 쉐이키스 V-리그 및 필리핀 축구 리그의 본부가 있다. 수도권에 기반을 둔 대학 리그로는 대학 체육 협회, 국립 학교, 대학 체육 협회, 전국 대학 체육 협회, 수도권 체육 협회, 국립 대학 체육 협회, 대학 체육 협회, 필리핀 대학 체육 협회, 여자 전국 대학 체육 협회, 남자 전국 대학 체육 협회 및 마카티 대학교의 지방 대학 협회가 있다.

리살 기념 스포츠 단지와 필스포츠 단지는 이 지역에 있는 두 개의 국립 스포츠 단지이다. 와크 와크 골프 앤드 컨트리 클럽은 필리핀 오픈과 월드컵과 같은 주요 대회를 개최했다. 마닐라 메트로 지역의 주요 스포츠 경기장으로는 스마트 아라네타 콜리세움, 몰 오브 아시아 아레나, 필로일 플라잉 V 아레나 및 쿠네타 아스트로돔이 있다. 그레이터 마닐라 지역에는 세계에서 가장 큰 실내 경기장인 세계 최대 규모의 실내 경기장인 필리핀 아레나도 있다.[113] 불라칸주 보카우에 위치해 있으며 최대 5만 5천 명을 수용할 수 있다.[114]

마닐라 메트로 지역과 필리핀의 주요 스포츠는 농구이다. 도시에서 또 다른 인기 스포츠는 당구이며, 당구장은 많은 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야구, 배구, 축구수영도 널리 행해지는 스포츠이다. 이 지역은 13년 연속 팔라롱 팜반사의 우승을 차지했다.[115] 마닐라 스톰은 리살 공원(루네타 공원)에서 훈련하고 사우던 플레인즈 필드, 라구나주 칼람바에서 홈 경기를 치르는 럭비 리그 팀이다. 마닐라 메트로 지역에는 알라방 이글스, 마카티 매버릭스, 마닐라 노마드 스포츠 클럽 및 마닐라 하폰스와 같은 여러 럭비 유니온 팀이 있다.

7. 1. 예술

리살 공원(Rizal Park) (마닐라)


파코 공원(Paco Park)은 스페인 식민 시대에 도미니크 수도회가 건설한 옛 시립 묘지이다.


필리핀 국립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스폴리아리움」


119회 리살 기념일 기념식, 리살 공원에서


메트로 마닐라에는 리살 공원, 파코 공원, 산티아고 요새, 퀘존 기념 국립공원 등 4개의 국립공원이 있다. 리살 공원과 파코 공원은 국립공원 개발 위원회(NPDC)에서, 산티아고 요새는 인트라무로스 관리국에서 관리한다. 퀘존 기념 국립공원의 관리는 퀘존 시 정부, 국립역사연구소, NPDC의 3자 협정에 따라 퀘존 시 정부로 이관되었다.[167] 이 지역에는 리살 공원, 니노이 아키노 공원 및 야생동물 센터, 마닐라 만 해변 리조트 등 3개의 보호 구역도 있다.

리살 공원은 루네타 공원(Luneta Park)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58ha의 면적으로 아시아 최대의 도시공원이라고 알려져 있으며,[168] 인트라무로스(Intramuros)의 역사적인 성벽 지역과 함께 2009년 관광법에 따라 관광 사업 지역이 되는 중심지로 지정되었다. 파코 공원은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 도미니카인들이 세운 시 묘지였던 곳을 재설계한 정원이다. 필리핀 환경 디자인의 아버지로 불리는 필리핀의 환경 디자이너 I.P. 산토스에게 묘지 자리를 공원으로 만들기 위한 설계를 의뢰했다.

마닐라 동식물원은 1959년에 설립된 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동물원이다. 40세의 코끼리 "말리"를 비롯하여 90종 1000마리 이상의 동물이 사육되고 있다. 매주 평균 4,000명이 방문하며 매달 약 40,000명의 관광객이 찾는다.

라 메사 에코파크는 라 메사 유역 주변에 있는 33ha의 정비된 지역이다. 메트로폴리탄 상하수도 시스템, ABS-CBN, 퀘존 시 정부의 공동 파트너십에 의해 설립되었다. 라 메사 에코파크는 니노이 아키노 공원 및 야생동물 센터와 함께 필리핀의 중요한 자연보호구역이 되고 있다.

라스피냐스·파라냐케 중요 서식지·에코투어리즘 지역(LPPCHEA)은 2007년 필리핀 정부에 의해 중요 서식지로 지정되었고, 2013년 람사르 협약에 의해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로 등록되었다. LPPCHEA는 파라냐케의 프리덤 섬과 라스피냐스의 롱 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175ha의 면적에 8종의 맹그로브 숲, 갯벌, 내염성 식물이 있는 연못, 라군, 해안이 특징이다.

마닐라 수도권에는 필리핀 정부 산하의 필리핀 국립박물관이 있으며, 마닐라 시 인트라무로스 근처 리살 공원 안에 국립미술관, 국립인류학박물관, 국립자연사박물관 등 여러 박물관을 운영하고 있다. 이들 박물관은 1901년 다니엘 번햄이 제안한 신수도 건설 계획의 일부였던 장소와 건물을 활용하고 있다.

그 외 주요 박물관으로는 아얄라 박물관, 바하이 치노이, 카사 마닐라, 로페즈 박물관·도서관, 마닐라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마인드 뮤지엄, 무세오 팜바타(어린이 박물관), 발렌수엘라 박물관, 필리핀 정치사 박물관, 파식 시 박물관, 리살 신전 (인트라무로스) 등이 있다. 또한 교육기관이 설립한 박물관으로는 아테네오 미술관, UP 바르가스 박물관(호르헤 B. 바르가스 박물관·필리피아나 연구센터), 현대미술·디자인관, 필리핀대학교 마닐라 사상사 박물관, 성 토마스 대학교 미술·과학 박물관 등이 있다.

필리핀 국립극장은 마닐라 시와 파사이에 걸쳐 62ha의 부지를 소유한 필리핀 문화센터 콤플렉스(CCP) 내에 위치해 있다. CCP 외에도 쿠네타 아스트로돔, SM몰 오브 아시아 아레나, 리살 공원, 퀘존 기념 서클, 스마트 아라네타 콜로세움, 필리핀대학교 딜리만 캠퍼스의 UPFI 필름센터와 UP 극장 등 다양한 공연장이 있다. 1931년에 건설된 마닐라 메트로폴리탄 극장(The Met)은 마닐라의 아르데코풍 극장 중에서도 "그랜드 댐"이라 불린 유명한 극장이었지만, 노후화로 인해 1996년에 폐쇄되었다. 그러나 국립문화예술위원회, 필리핀 국립박물관, 에스쿠엘라 톨라의 3자 협정에 따라 복원될 계획이다.

7. 2. 종교

가톨릭이 메트로 마닐라의 주요 종교이다.[112] 다른 기독교 교파, 무슬림, 아니티스트, 애니미스트, 그리고 무신론자는 소수이다. 이 지역의 주요 종교 유적지로는 마닐라 대성당, 산 세바스티안 교회, 톤도 교회, 산 아구스틴 교회, 키아포 교회, 바클라란 교회가 있다.

7. 3. 스포츠



수도권에는 동남아시아 농구 리그, 필리핀 야구 협회, 필리핀 농구 협회, 마하르리카 필리핀 농구 리그, 필리핀 슈퍼 리그, 쉐이키스 V-리그 및 필리핀 축구 리그의 본부가 있다. 수도권에 기반을 둔 대학 리그로는 대학 체육 협회, 국립 학교, 대학 체육 협회, 전국 대학 체육 협회, 수도권 체육 협회, 국립 대학 체육 협회, 대학 체육 협회, 필리핀 대학 체육 협회, 여자 전국 대학 체육 협회, 남자 전국 대학 체육 협회 및 마카티 대학교의 지방 대학 협회가 있다.

리살 기념 스포츠 단지와 필스포츠 단지는 이 지역에 있는 두 개의 국립 스포츠 단지이다. 와크 와크 골프 앤드 컨트리 클럽은 필리핀 오픈과 월드컵과 같은 주요 대회를 개최했다. 마닐라 메트로 지역의 주요 스포츠 경기장으로는 스마트 아라네타 콜리세움, 몰 오브 아시아 아레나, 필로일 플라잉 V 아레나 및 쿠네타 아스트로돔이 있다. 그레이터 마닐라 지역에는 세계에서 가장 큰 실내 경기장인 세계 최대 규모의 실내 경기장인 필리핀 아레나도 있다.[113] 불라칸주 보카우에 위치해 있으며 최대 5만 5천 명을 수용할 수 있다.[114]

마닐라 메트로 지역과 필리핀의 주요 스포츠는 농구이다. 도시에서 또 다른 인기 스포츠는 당구이며, 당구장은 많은 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야구, 배구, 축구수영도 널리 행해지는 스포츠이다. 이 지역은 13년 연속 팔라롱 팜반사의 우승을 차지했다.[115] 마닐라 스톰은 리살 공원(루네타 공원)에서 훈련하고 사우던 플레인즈 필드, 라구나주 칼람바에서 홈 경기를 치르는 럭비 리그 팀이다. 마닐라 메트로 지역에는 알라방 이글스, 마카티 매버릭스, 마닐라 노마드 스포츠 클럽 및 마닐라 하폰스와 같은 여러 럭비 유니온 팀이 있다.

8. 인적 자원

메트로 마닐라는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교육, 의료, 공공 안전의 중심지였다.

산토 토마스 대학교(1611년 설립), 산 후안 데 레트란 대학교(1620년 설립), 아테네오 데 마닐라 대학교(1859년 설립)는 식민지 시대에 설립된 가장 오래된 교육 기관이다. 필리핀 대학교를 비롯한 여러 주립 대학교가 메트로 마닐라에 위치해 있으며, 마닐라의 대학 거리는 필리핀 최대의 고등 교육 기관 밀집 지역이다.

메트로 마닐라의 의료 서비스는 대부분 민간 기업이 제공하며, 2009년 기준 179개의 병원이 있다. 세계보건기구 서태평양 지역 사무소와 필리핀 세계보건기구 국가 사무소, 보건부 본사가 이 지역에 있다.

필리핀 국가경찰(PNP)은 필리핀의 치안을 담당하며, 수도권 경찰청(NCRPO)은 메트로 마닐라 지역을 관할한다. NCRPO는 5개의 경찰서 관할구역으로 나뉜다.

필리핀군 본부는 케손시티 캠프 아기날도에 국방부와 함께 위치한다. 필리핀 육군 본부, 필리핀 공군 본부, 필리핀 해군 본부, 필리핀 해안경비대 본부도 메트로 마닐라에 있다.

2012년, 메트로 마닐라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 필리핀군 합동작전사령부 수도권(AFP Joint Task Force-National Capital Region)이 발족되었다.

8. 1. 교육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마닐라는 교육의 중심지였다. 산토 토마스 대학교(1611년 설립), 산 후안 데 레트란 대학교(1620년 설립), 아테네오 데 마닐라 대학교(1859년 설립)는 식민지 시대에 설립된 가장 오래된 교육 기관 중 일부이다.[116][117] 필리핀대학교를 비롯하여 유로히오 "아망" 로드리게스 과학기술대학교, 마리키나 폴리테크닉 대학교, 필리핀 사범대학교, 필리핀 항공 주립대학교, 필리핀 폴리테크닉 대학교, 리잘 기술대학교, 필리핀 기술대학교 등 7개의 주립대학교가 마닐라 수도권에 위치해 있다. 마닐라의 대학 거리에는 많은 고등 교육 기관이 모여 있으며, 필리핀 최대의 교육 지역을 형성하고 있다. 마닐라 수도권에 있는 국내 최고 수준의 대학교는 필리핀대학교 시스템, 아테네오 데 마닐라 대학교, 드 라 살레 대학교, 산토 토마스 대학교로 널리 알려져 있다.[116][117]

필리핀대학교 딜리만은 1949년부터 필리핀대학교 시스템의 주력 대학이다.


1611년에 설립된 산토 토마스 대학교는 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현존하는 대학 헌장을 보유하고 있다.


드 라 살레 대학교(DLSU)


마닐라 수도권에는 필리핀 국립 과학학교인 퀘존시티 딜리만의 필리핀 과학고등학교와 국내 모든 과학 학교의 전신인 마닐라시 에르미타의 마닐라 과학고등학교 등 저명한 중등 교육 기관이 있다. 초등·중등 교육은 수도권 교육부(DepEd-NCR)가 관할하고, 고등 교육 기관은 수도권 고등교육위원회(CHED)가 관할한다.

마닐라 수도권은 필리핀 전 지역 중 가장 높은 읽기 능력을 보이며, 2008년에는 99.2%였다(남성: 99.0%, 여성: 99.4%).[118] 2008년부터 2009년도에는 511개의 공립 초등학교와 220개의 공립 중학교가 있었고, 2009년 말 현재 309개의 고등 교육 기관(공립·사립)이 있었다. 같은 해 공립 초등학교 입학생 수는 1,219,333명, 공립 중학교는 661,019명, 고등 교육 기관(공립·사립)은 687,096명이었다.[119]

8. 2. 공중 보건

메트로 마닐라의 의료 서비스는 대부분 민간 기업이 제공한다. 해당 지역 병원의 72%가 민영 병원이다. 2009년 기준으로, 이 지역에는 179개의 병원이 있으며, 퀘존 시티에 병원이 가장 많고, 발렌수엘라와 파테로스에는 병원이 없다.[120] 2008년 기준, 수도권 정부 의료 종사자는 의사 590명, 치과의사 498명, 간호사 4,576명, 조산사 17,437명이다. 메트로 마닐라에는 27,779개의 병상이 있으며, 인구 1,000명당 2.47개의 병상 비율을 보인다.[121] 이 지역은 필리핀 모든 지역 중 영양실조율이 가장 낮다.[122]

세계보건기구 서태평양 지역 사무소와 필리핀 세계보건기구 국가 사무소의 본부가 이 지역에 있다. 필리핀 국가 보건 부처인 보건부의 본사 또한 이 지역에 있다.

메트로 마닐라는 보건부에 의해 의료 관광의 선구자로 지정되었으며, 연간 10억달러의 수익을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123] 그러나 진보적인 보건 시스템 부족, 부적절한 인프라, 불안정한 정치 환경은 성장의 걸림돌로 여겨진다.[124] 필리핀 의료 관광 프로그램에 따라 메트로 마닐라에는 16개의 참여 병원(민간 및 공공)이 있으며, 2013년 기준으로 총 6,748개의 병상이 있다.[125] 필리핀에서 조인트 커미션 인터내셔널의 인증을 받은 6개 병원 중 5개가 이 지역에 있는데, 아시안 병원 및 의료 센터, 마카티 의료 센터, 세인트 루크 의료 센터 – 글로벌 시티, 세인트 루크 의료 센터 – 퀘존 시티 및 더 메디컬 시티이다.[126]

에르미타의 필리핀 일반 병원


퀘존 시티의 이스트 애비뉴에는 필리핀 폐 센터, 국립 신장 및 이식 연구소, 필리핀 심장 센터 등 저명한 국가 보건 센터가 있다. 메트로 마닐라의 다른 국가 특수 병원으로는 퀘존 시티의 필리핀 정형외과 센터와 만달루용의 국립 정신 건강 센터가 있다. 필리핀 최고의 국영 3차 병원인 필리핀 일반 병원은 마닐라 시에 있다. 퀘존 시티와 타구이그에서 운영되는 세인트 루크 의료 센터는 세계 최고의 병원 중 하나로 꼽히는 민간 3차 진료 병원이다.[127][128]

8. 3. 공공 안전

필리핀 국가경찰 본부인 캠프 크레임


필리핀 군 사령부인 캠프 아기날도


필리핀 국가경찰(Philippine National Police, PNP)은 필리핀의 치안 유지를 담당하며, 케손시티 보니 세라노 애비뉴(Bonny Serrano Avenue)에 있는 캠프 크레임에 본부를 두고 있다. 수도권 경찰청(National Capital Region Police Office, NCRPO)은 메트로 마닐라의 PNP 지역 지부로, 타기그의 비쿠탄(Bicutan)에 있는 캠프 바공 디와(Camp Bagong Diwa)에 본부를 두고 있다. NCRPO는 5개의 경찰서 관할구역으로 나뉘는데, 다음과 같다:

경찰서 관할구역관할 도시/자치구
마닐라 경찰구마닐라
케손 시티 경찰구케손시티
동부 경찰구만달루용, 마리키나, 파시그, 산후안
북부 경찰구칼로오칸, 말라본, 나보타스, 발렌수엘라
남부 경찰구라스피냐스, 마카티, 몬틴루파, 파라냐케, 파테로스, 파사이, 타기그



2014년 메트로 마닐라는 필리핀에서 가장 높은 범죄율을 기록했으며, 59,448건의 범죄가 보고되었다 (바랑가이(Barangay) 단위 보고 제외). 이 중 25,353건은 인명 대상 범죄였다.[129] 높은 범죄율에 대한 비판 이후, 필리핀 국가경찰은 범죄와의 전쟁을 통해 메트로 마닐라의 범죄율을 감소시켰다.[131][132] 2015년 3월 기준으로, 메트로 마닐라의 범죄율은 주간 평균 919건에서 412건으로 50% 감소했으며, 강도 및 절도 사건도 한 달 만에 63건 감소했다.[133]

메트로 마닐라의 소방 및 기술 구조, 응급 의료 서비스는 수도권 소방청(Bureau of Fire Protection National Capital Region)에서 제공하며, 5개의 소방서 관할구역으로 구성된다: 마닐라, 케손 시티, 2지구, 3지구, 4지구.

필리핀군의 본부는 케손시티 머피(Murphy)에 있는 캠프 아기날도에 국방부와 함께 위치해 있다. 캠프 아티엔자와 포트 보니파시오와 같은 다른 군 기지도 이 지역에 있다. 필리핀 육군 본부는 타기그의 포트 보니파시오에, 필리핀 공군 본부는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의 빌라모르 공군기지(Villamor Air Base)에, 필리핀 해군 본부는 마닐라 말라테(Malate) 로하스 불바르(Roxas Boulevard)에 있다.

필리핀 해안경비대 본부는 마닐라의 항구 지역(Port Area)(마닐라 남항)에 있다. 해안경비대 수도권 지구 본부 또한 이 도시에 있으며, 파시그타기그에도 기지가 있고, 나보타스, 파라냐케, 탕고스(Tangos), 비타스(Vitas), 마닐라 북항, 마닐라 남항, 필리핀 문화센터에 여러 파견대를 두고 있다.[135]

2012년, 메트로 마닐라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 필리핀군 합동작전사령부 수도권(AFP Joint Task Force-National Capital Region)이 발족되었는데, 이는 해체된 수도권 지휘부(National Capital Regional Command)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지만, 규모는 더 작다.[136]

9. 기반 시설

메트로 마닐라는 필리핀의 수도권으로, 교통, 전력, 상하수도, 쓰레기 처리 등 다양한 기반 시설을 갖추고 있다.

필리핀 육상교통프랜차이즈 및 규제위원회(LTFRB)에 따르면, 메트로 마닐라의 대중교통 이용률은 지프니 46%, 개인 차량 32%, 버스 14%, 철도 8%이다.[137] 이러한 대중교통 시스템은 메트로 마닐라 드림 플랜에 따라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138][139]

메트로 마닐라의 전력 공급은 마닐라 전력(Meralco)이 독점하고 있으며, 국영전력공사 및 루손섬의 독립 발전사들로부터 전력을 생산한다.

메트로 마닐라 상하수도 시스템(MWSS)은 1997년 민영화되어 메이닐라드 워터 서비스와 마닐라 워터로 분리되었다. 메이닐라드 워터 서비스는 마닐라(남동부 제외), 칼룩칸, 라스피냐스, 말라본, 문틴루파, 나보타스, 파라냐케, 파사이, 발렌술아, 마카티케손 시 일부 지역의 서부 권역을 담당한다. 마닐라 워터는 만달루용, 마리키나, 파시그, 파테로스, 산 후안, 타구이그, 마카티와 케손 시의 광범위한 지역과 서부 권역에서 제외된 마닐라 남동부 지역의 동부 권역을 담당하여 각각 상수도 공급 및 하수 처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쓰레기 수거는 각 지방 자치 단체가 담당하며, 2013년 기준으로 총 42.21억필리핀 페소 (9385.5만달러)가 쓰레기 수거에 사용되었다.[149]

9. 1. 교통

필리핀 육상교통프랜차이즈 및 규제위원회(LTFRB)에 따르면, 메트로 마닐라의 대중교통 이용률은 지프니 46%, 개인 차량 32%, 버스 14%, 철도 8%이다.[137] 메트로 마닐라 교통 개발은 메트로 마닐라 드림 플랜에 따라 2030년까지 단기 및 장기 인프라 구축, 교통, 토지 이용, 환경 문제 해결을 목표로 한다.[138][139]

9. 1. 1. 도로 및 고속도로

케손 시티의 EDSA 고가도로


문틴루파에 있는 남부 루손 고속도로의 스카이웨이 남쪽 끝


케손대로와 교차하는 에드사의 고가도로


마닐라 수도권 남단의 남부 루손 고속도로


메트로 마닐라의 도로는 마닐라시를 중심으로 건설되었으며, 지역 도로, 국도, 분할 도로로 분류된다. 마닐라에서 뻗어나가는 10개의 방사형 도로와 마닐라 주변에 반원형으로 형성된 5개의 순환 도로가 있다. 이들은 상호 연결된 도로, 다리, 고속도로 시스템을 이룬다. 순환 도로의 문제점은 연결이 부족한 부분인데, 이는 메트로 마닐라의 급속한 도시화로 인해 아직 건설되지 않은 도로가 있기 때문이다. 이 문제는 연결 도로 건설을 통해 해결되고 있다.

방사형 및 순환 도로 시스템은 필리핀 공공사업부가 시행하는 새로운 번호 체계로 대체되고 있으며, 새로운 표지판이 설치되고 있다. 고속도로에는 E 접두사가 붙고, 국도에는 3자리 이하의 번호가 지정된다(3차 국도 제외).

중요한 순환 도로 중 하나는 순환 도로 4이며, 에피파니오 데 로스 산토스 애비뉴(EDSA)가 주요 구성 요소이다. 이 도로는 파사이, 마카티, 만달룬얀, 케손 시티, 칼룩칸을 지난다. 3호선은 파사이의 타프트 애비뉴에서 트리노마까지 EDSA를 따라 운행된다. 순환 도로 5는 메트로 마닐라 경계 근처 주민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며, 순환 도로 4의 대체 경로로도 사용된다.

주요 방사형 도로로는 록사스대로와 마닐라-카비테 고속도로(해안 도로)로 구성된 방사형 도로 1, 남부 루손 고속도로인 방사형 도로 3, 오로라대로와 마르코스 고속도로로 구성된 방사형 도로 6, 북부 루손 고속도로인 방사형 도로 8이 있다.

스카이웨이는 북부 루손 고속도로와 남부 루손 고속도로를 직접 연결하는 주요 고속도로이다. 또한 NAIA 고속도로(NAIAX)를 통해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으로의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스카이웨이는 필리핀 최초의 완전 분리 고속도로이며, 총 길이 약 42.79km로 세계에서 가장 긴 고가 고속도로 중 하나이다. 마닐라-카비테 고속도로와 문틴루파-카비테 고속도로와 같은 다른 고속도로도 메트로 마닐라를 주변 지역과 연결한다.

도로, 고속도로 및 고속도로의 개발은 메트로 마닐라 드림 플랜을 기반으로 한다. 드림 플랜의 진행 중인 프로젝트에는 EDSA 재건, CAVITEX–C-5 링크, NLEX 커넥터 및 순환 도로의 누락된 도로 연결 건설이 포함된다.

9. 1. 2. 철도 시스템

메트로 마닐라 철도 시스템 지도.


마닐라 경전철 시스템(LRT 1호선, LRT 2호선), 마닐라 지하철 시스템(MRT 3호선), 필리핀 국철(PNR 메트로 커뮤터 라인)은 메트로 마닐라 및 그 주변 지역의 대중교통 시스템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2021년 기준으로, 세 시스템과 4개의 운영 노선을 합쳐 총 82개의 역이 있으며, 총 113.3km에 달한다.[140] 이 네트워크는 필리핀에서 가장 활동적인 철도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버스지프니보다 빠른 대안 교통 수단으로서 대도시에 철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급속히 확장되는 대도시의 수요를 충족하기에는 현재로서는 부족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노선과 노선 연장 공사가 진행 중이며, 이는 시스템을 인근 지역으로 크게 확장할 것이다.[140]

국가 정부와 민간 부문에서는 여러 새로운 철도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여기에는 건설 중인 남북 통근 철도, 메트로 마닐라 지하철, 그리고 마닐라 중전철 7호선이 포함된다.[140][141] LRT 1호선 남쪽 연장선과 LRT 2호선 서쪽 연장선과 같은 노선 연장도 계획 중이다.[142] 다른 노선 연장 및 철도 노선은 계획 단계에 있다.[143][142]

9. 1. 3. 항공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NAIA)은 메트로 마닐라의 유일한 공항이자 주요 관문이며, 필리핀에서 가장 이용객이 많은 공항이다.[144][229] NAIA는 제1터미널, 필리핀항공 전용 제2터미널, NAIA에서 가장 새롭고 큰 제3터미널, 마닐라 국내선 여객터미널로도 알려진 제4터미널의 네 개 터미널이 있다. 메트로 마닐라를 운항하는 다른 공항으로는 앙헬레스시에서 약 80km 떨어진 클라크 국제공항이 있다.[229]

북쪽에 인접한 불라칸주에서 새 마닐라 국제공항이 건설 중이다.

9. 1. 4. 버스

이 지역의 버스 운영권은 육상 운송 프랜차이즈 및 규제 위원회에서 관리한다. 프리미엄 지점 간 버스 서비스는 페어뷰의 발송 터미널에서 EDSA를 따라 중심 업무 지구까지 운행하는 고속 버스 시스템이다. 이는 통행 시간을 크게 단축하고, 대도시의 극심한 교통 체증에 시달리는 통근자들에게 더 빠르고, 안전하며, 편리한 버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45][146]

2015년 12월, SM 노스 EDSA, 트리노마 및 SM 메가몰에서 마카티까지 운행하는 두 번째 고속 버스 노선이 개통되었다. 2016년 1월에는 거의 30년 만에 2층 버스가 EDSA를 운행했다. 이후 세 번째 노선(2016년 2월, 로빈슨스 갈레리아에서 아얄라 센터 복합 단지)과 네 번째 노선(2016년 3월, 아얄라 센터에서 문틴루파의 알라방 타운 센터, 메트로 마닐라 스카이웨이 경유, 후에 아얄라 몰스 사우스 파크까지 연장)이 개통되었다.

현재 고속 버스는 마켓 마켓 몰과 서킷 마카티를 누발리 주거 타운십과 산 페드로의 파시타 빌리지 복합 단지(라구나주) 양쪽에 연결하는데, 이 서비스는 각각 2014년과 2017년에 시작되었다(케손 시티의 UP 타운 몰과 안티폴로(리잘주)의 SM 마시낙 추가 서비스 포함). 2015년부터 시외 고속 버스가 운행되어 EDSA의 교통량 완화에 기여하고 있다. 2018년에는 마카티 중심 업무 지구와 산 로렌조 플레이스에서 카비테까지 추가 노선이 개통되었다.

메트로 마닐라는 버스 신속 통행 시스템(BRT)을 갖추고 있는데, 특히 EDSA 캐러셀이 대표적이다. 코먼웰스 애비뉴에서 마닐라 시청까지 27.7km를 운행할 예정인 또 다른 BRT 시스템에는 49억필리핀 페소 (1.095억달러)가 소요되며, 300대의 버스와 32개의 정류장을 갖추게 된다.[147][148]

9. 1. 5. 페리

파식강 페리 서비스는 메트로 마닐라 개발청이 운영하는 메트로 마닐라의 주요 페리 수송 시스템이다. 파식강을 따라 파식의 피나그부하탄 마을에서 인트라무로스의 플라자 멕시코까지 운행한다. 페리라고 불리지만, 수상 버스에 더 가깝다. 17개의 정거장이 있지만, 14개만 운영 중이다.

2017년 5월 10일에는 마닐라-바탄 페리가 개통되어 마닐라의 CCP 단지에 있는 베이 터미널에서 바탄주 오리온까지 마닐라 만을 횡단한다. 2018년 1월에는 카비테-마닐라 페리 서비스가 개통되어 카비테주 노벨레타와 인트라무로스를 오간다.

9. 2. 전력 및 수도

마닐라 수도권 및 주변 지역의 수도 공급 지역. 메이닐라드 워터 서비스(Maynilad Water Services)는 붉은색 지역, 마닐라 워터(Manila Water)는 파란색 지역을 담당한다.


메트로 마닐라의 유일한 전력 공급업체는 마닐라 전력(Meralco)이다. 메랄코는 국영전력공사(National Power Corporation) 및 루손에 있는 다른 독립 발전사들로부터 전력을 생산한다. 메트로 마닐라 상하수도 시스템(Metropolitan Waterworks and Sewerage System, MWSS)은 메트로 마닐라의 식수 공급 및 배송과 하수 시스템을 담당했다. 1997년 민영화되었으며, 해당 지역과 인근 지역은 동부와 서부 권역으로 나뉘었다. 낙찰된 기업들은 MWSS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메이닐라드 워터 서비스(Maynilad Water Services)는 마닐라(남동부 제외), 칼룩칸, 라스피냐스, 말라본, 문틴루파, 나보타스, 파라냐케, 파사이, 발렌술아를 포함하는 서부 권역을 인수했다. 또한 마카티케손 시 일부 지역도 운영한다. 마닐라 워터(Manila Water)는 만달루용, 마리키나, 파시그, 파테로스, 산 후안, 타구이그를 포함하는 동부 권역을 운영한다. 또한 마카티와 케손 시의 광범위한 지역과 서부 권역에서 제외된 마닐라 남동부 지역도 운영한다.

쓰레기 수거를 위해, 해당 지역은 2013년에 42.21억필리핀 페소(9385.5만달러)를 지출했다. 케손 시가 9.9459억필리핀 페소(2211.5만달러)로 가장 많은 금액을 지출했으며, 해당 지역 유일의 자치구인 파테로스는 쓰레기 처리에 9478000PHP(210747USD)를 가장 적게 지출했다.[149]

참조

[1] 간행물 Dividing Region No. 4 of the Administrative Field Organization of the Various Departments and Agencies of the Government Into Region No. 4 and 4-A https://www.official[...] The Official Gazette 1976-01-23
[2] 논문 Governance and Urban Development: Case Study of Metro Manila https://dirp3.pids.g[...] 1999-02-01
[3] 웹사이트 The Principal Agglomerations of the World http://citypopulatio[...]
[4] 웹사이트 2021 to 2023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GRDP) https://psa.gov.ph/s[...]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5] 웹사이트 Gender and Special Population Groups; Provincial Human Development Index http://openstat.psa.[...]
[6] 간행물 Creating the Metropolitan Manila and the Metropolitan Manila Commission and for Other Purposes https://elibrary.jud[...] Supreme Court E-Library 1975-11-07
[7] 논문 Manila 2018-02-01
[8] 웹사이트 City of Manila: What is old is new again https://www.colliers[...] Colliers 2022-03-01
[9] 웹사이트 Mapa ng mga Wika (Rehiyon) - National Capital Region https://kwf.gov.ph/m[...] Commission on the Filipino Language
[10] 서적 Barangay: Sixteenth Century Philippine Culture and Society Ateneo de Manila University Press
[11] 논문 Manila — Maynilad or Maynila? 1975-03-01
[12] 서적 Relation of the Conquest of the Island of Luzon Arthur H. Clark Company
[13] 서적 Historia general de las Islas Occidentales a la Asia adyacentes, llamadas Philipinas Impr. de Miguel Ginesta
[14] 서적 Historia general de las Islas Occidentales a la Asia adyacentes, llamadas Philipinas Impr. de Miguel Ginesta
[15] 간행물 An Act Extending the Provisions of the Provincial Government Act to the Province of Rizal https://lawyerly.ph/[...] 1901-06-11
[16] 간행물 An act to incorporate the City of Manila https://lawyerly.ph/[...] 1901-07-31
[17] 간행물 Creating the City of Greater Manila https://www.official[...] 1942-01-01
[18] 간행물 Reducing the Territory of the City of Greater Manila https://www.official[...] 1945-07-25
[19] 간행물 Creating the Department of Human Settlements and the Human Settlements Development Corporation, Appropriating Funds Therefor, and Accordingly Amending Certain Presidential Decrees https://elibrary.jud[...] Supreme Court E-Library 1978-06-02
[20] 간행물 Establishing Manila as the Capital of the Philippines and as the Permanent Seat of the National Government http://www.chanroble[...] Chan C. Robles Virtual Law Library 1976-06-24
[21] 서적 Mahatma Gandhi At The Close Of Twentieth Century https://books.google[...] Anmol Publications Pvt. Ltd
[22] 웹사이트 Was Marcos right? Do we need a governor for Metro Manila? http://www.interaksy[...] InterAksyon
[23] 뉴스 DOLE: 10.6% unemployed https://news.google.[...] Standard Publications, Inc. 1988-01-03
[24] 뉴스 619,000 in Metro looking for jobs https://news.google.[...] Manila Standard News, Inc. 1988-09-10
[25] 뉴스 San Pedro City eyed as 18th member of MMDA http://www.mb.com.ph[...] 2014-12-30
[26] 보도자료 Koko seeks the creation of San Pedro City as a separate congressional district http://www.senate.go[...] 2016-01-04
[27] 웹사이트 Senate Bill No. 3029: An Act Separating the City of San Pedro from The First Legislative District of The Province of Laguna To Constitute the Lone Legislative of San Pedro https://www.senate.g[...] 2015-12-08
[28] 뉴스 Taguig LGU lauds SC decision over Fort Bonifacio ownership https://mb.com.ph/20[...] 2023-04-03
[29] 뉴스 Makati raises 'constitutional' issues in BGC land dispute https://www.philstar[...] 2023-04-05
[30] 뉴스 DILG's Taguig office to take control of 10 EMBO villages https://www.pna.gov.[...] 2023-11-08
[31] 웹사이트 Metro Manila and Its 200KM Radius Sphere https://openjicarepo[...] Japan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2010-07-01
[32] 뉴스 Living on a Fault Line: Manila in a 7.2 Earthquake http://www.philstar.[...] 2015-05-11
[33] 논문 Flood Risk of Metro Manila Barangays: A GIS Based Risk Assessment Using Multi-Criteria Techniques https://conference.s[...]
[34] 뉴스 Metro Manila is world's second riskiest capital to live in–poll http://newsinfo.inqu[...] 2014-03-27
[35] 뉴스 Temperatures drop further in Baguio, MM http://www.philstar.[...]
[36] 웹사이트 Philippines endure extreme heat until mid May https://qa.philstar.[...] Philstar.com 2024-04-28
[37] 웹사이트 Manila http://jeepneyguide.[...] Jeepneyguide 2014-03-04
[38] 웹사이트 Port Area Manila Climatological Normal Values https://data.gov.ph/[...] Philippine Atmospheric, Geophysical and Astronomical Services Administration 2018-09-19
[39] 웹사이트 Port Area Manila Climatological Extremes https://data.gov.ph/[...] Philippine Atmospheric, Geophysical and Astronomical Services Administration 2018-09-19
[40] 웹사이트 Filippinerne – Manila, Luzon http://www.dmi.dk/dm[...] Danish Meteorological Institute 2018-09-19
[41] 웹사이트 NAIA Pasay City Climatological Normal Values https://data.gov.ph/[...] Philippine Atmospheric, Geophysical and Astronomical Services Administration 2018-10-10
[42] 웹사이트 NAIA Pasay City Climatological Extremes https://data.gov.ph/[...] Philippine Atmospheric, Geophysical and Astronomical Services Administration 2018-10-10
[43] 웹사이트 Science Garden Quezon City Climatological Normal Values https://data.gov.ph/[...] Philippine Atmospheric, Geophysical and Astronomical Services Administration 2018-09-23
[44] 웹사이트 Science Garden Quezon City Climatological Extremes https://data.gov.ph/[...] Philippine Atmospheric, Geophysical and Astronomical Services Administration 2018-09-23
[45] 웹사이트 Annual Audit Report of the National Parks and Development Committee http://www.nationalp[...] National Parks and Development Committee 2011-12-31
[46] 웹사이트 Protected Areas in National Capital Region http://www.bmb.gov.p[...] Biodiversity Management Bureau 2015-05-11
[47] 뉴스 FAST FACTS: Rizal Park http://www.rappler.c[...] Rappler 2015-03-08
[48] 간행물 The Tourism Act of 2009 http://www.tourism.g[...] Department of Tourism 2009-05-12
[49] 웹사이트 Paco Park http://pacopark.nati[...] 2014-05-03
[50] 뉴스 Manila Zoo renovation underway by July http://www.mb.com.ph[...] Manila Bulletin 2014-05-22
[51] 웹사이트 Information Sheet on Ramsar Wetlands (RIS) – 2009–2014 http://sites.wetland[...] Wetlands International 2014-07-04
[52] 웹사이트 The Annotated Ramsar List: Philippines http://www.ramsar.or[...] Ramsar Convention 2014-07-04
[53] 뉴스 Metro Manila's 'secret' wildlife sanctuary – and why it might disappear soon http://www.gmanetwor[...] GMA News Online 2015-03-11
[54] 뉴스 Bill creating new Metro Manila body backed http://www.philstar.[...] Philippine Star 2014-09-30
[55] 뉴스 DOJ backs creation of Metropolitan Manila Regional Administration http://newsinfo.inqu[...] Inquirer.net 2015-03-08
[56] 웹사이트 An Update on the Earthquake Hazards and Risk Assessment of Greater Metropolitan Manila Area http://www.mbc.com.p[...] Philippine Institute of Volcanology and Seismology 2016-05-16
[57] 웹사이트 Enhancing Risk Analysis Capacities for Flood, Tropical Cyclone Severe Wind and Earthquake for the Greater Metro Manila Area Component 5 – Earthquake Risk Analysis http://ndrrmc.gov.ph[...] Philippine Institute of Volcanology and Seismology and Geoscience Australia 2016-05-16
[58] 웹사이트 PSGC Interactive; List of Cities http://www.nscb.gov.[...] 2016-04-04
[59] 웹사이트 City Profile https://manila.gov.p[...] 2024-03-31
[60] 웹사이트 Land Use Classification http://www.pateros.g[...] 2016-04-07
[61] 웹사이트 Municipal and City Level Estimates http://www.nscb.gov.[...] National Statistical Coordination Board 2014-07-14
[62] 웹사이트 Environmental Management Bureau – National Capital Region http://emb.gov.ph/em[...] Environmental Management Bureau 2014-07-17
[63] 웹사이트 An Update on the Earthquake Hazards and Risk Assessment of Greater Metropolitan Manila Area http://www.mbc.com.p[...] Philippine Institute of Volcanology and Seismology 2016-05-16
[64] 웹사이트 Enhancing Risk Analysis Capacities for Flood, Tropical Cyclone Severe Wind and Earthquake for the Greater Metro Manila Area Component 5 – Earthquake Risk Analysis http://ndrrmc.gov.ph[...] Philippine Institute of Volcanology and Seismology and Geoscience Australia 2016-05-16
[65] 웹사이트 Pateros; Land Use Classification https://web.archive.[...]
[66]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pna.gov.p[...] 2015-07-28
[67] 웹사이트 San Pedro City eyed as 18th member of MMDA | Manila Bulletin | Latest Breaking News | News Philippines http://www.mb.com.ph[...] 2015-03-08
[68] 웹사이트 San Pedro City eyed as 18th member of MMDA Manila Bulletin Latest Breaking News News Philippines http://www.mb.com.ph[...] 2018-09-08
[69] 웹사이트 201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National Capital Region https://www.census.g[...]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2012-04-06
[70] 웹사이트 National Capital Region. Total Population by Province, City, Municipality and Barangay: as of May 1, 2010 https://www.census.g[...]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of the Philippines 2012-12-22
[71] 뉴스 Squatters to fill half of metropolis https://news.google.[...] Kamahalan Publishing Corp. 2022-01-26
[72] 뉴스 Paradox of growth https://opinion.inqu[...] INQUIRER.net 2022-01-26
[73] 웹사이트 Unmasking the middle-class: profile and determinants https://pidswebs.pid[...]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2-01-26
[74] 잡지 In the slums of Manila, inequality is so bad that the worst off have no chance to protest http://www.newstates[...] 2016-11-04
[75]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ww.nha.gov.[...] 2019-11-21
[76] 서적 Report https://books.google[...] Office of Economic Coordination
[77] 웹사이트 Executive Order No. 517, s. 1979 https://www.official[...] 2021-07-21
[78] 웹사이트 Proclamation No. 2321, s. 1983 https://www.official[...] 2021-07-21
[79] 간행물 An Act to provide for a comprehensive and continuing urban development and housing program, establish the mechanism for its implementation, and for other purposes https://www.official[...] 1992-03-24
[80] 웹사이트 Philippine Korean Weekly Newspaper - Makati City https://www.business[...] 2023-07-25
[81] 웹사이트 All Economies of 17 Regions Continue to Record Positive Growths in 2023; Central Visayas was the Fastest Growing Region at 7.3 Percent https://psa.gov.ph/s[...] 2021-05-25
[82] 웹사이트 All Economies of 17 Regions Continue to Record Positive Growths in 2023; Central Visayas was the Fastest Growing Region at 7.3 Percent https://psa.gov.ph/s[...]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15-03-05
[83] 웹사이트 2014 Global Metro Monitor Map http://www.brookings[...] Brookings Institution 2015-03-06
[84] 웹사이트 Global firms fuel record surge in Manila office space http://www.gmanetwor[...] GMA News Online 2015-03-05
[85] 뉴스 PH real estate sector to stay strong in 2015 http://business.inqu[...] 2015-03-05
[86] 뉴스 Our country's hope http://www.philstar.[...] 2015-03-21
[87] 뉴스 PH real estate gets boost from BPOs, hospitality, gaming, retail http://globalnation.[...] 2015-03-20
[88] 뉴스 Metro Manila makes it to top 30 megacities list https://ph.news.yaho[...] INQUIRER.net 2015-05-22
[89] 뉴스 PH real estate gets boost from BPOs, hospitality, gaming, retail http://manilastandar[...] 2015-03-20
[90] 뉴스 How Binondo Became the World's Oldest Chinatown https://www.esquirem[...] Summit Media 2020-08-04
[91] 뉴스 NCR workers to get P35 daily minimum wage hike https://news.abs-cbn[...] 2024-07-01
[92] 뉴스 Good news but… Metro Manila minimum pay up by P15 http://newsinfo.inqu[...] 2015-03-20
[93] 웹사이트 P25 wage hike takes effect on November 22, 2018 https://www.philstar[...] 2018-11-15
[94] 웹사이트 Working in the Philippines http://www.makeitmak[...] Make it Makati 2015-03-05
[95] 뉴스 Fort Bonifacio eclipsing Makati CBD http://manilastandar[...] 2015-03-20
[96] 웹사이트 The Globe Shopper Index http://www.globeshop[...] Global Blue 2013-09-13
[97] 웹사이트 Manila 11th most attractive shopping destination in Asia Pacific –study http://ph.news.yahoo[...] Yahoo! Philippines 2013-03-26
[98] 뉴스 Metro Manila is top overnight tourist destination–DOT http://businessmirro[...] 2013-09-13
[99] 웹사이트 Visitor Arrival and Profile – 2012 http://www.visitmyph[...] Department of Tourism 2013-09-13
[100] 뉴스 Hotel groups in race to tap Manila gaming scene http://www.scmp.com/[...] 2015-03-23
[101] 뉴스 Hotel boom in Manila offers hope to domestic tourism http://www.mb.com.ph[...] 2015-03-08
[102] 뉴스 Hotel boom in Manila offers hope to Philippine tourism http://www.gmanetwor[...] 2015-03-23
[103] 웹사이트 Billion $ paradise – Manila stakes its claim http://www.macaubusi[...] Macau Business 2014-08-28
[104] 웹사이트 PAGCOR: Entertainment City is all about entertainment and tourism http://www.abs-cbnne[...] ABS-CBNnews.com 2013-03-26
[105] 웹사이트 Pagcor's Entertainment City seen to draw extra 1-M tourists http://www.philstar.[...] Philstar.com Business 2013-03-26
[106] 뉴스 Economics and morals of gambling http://www.manilatim[...] 2014-09-17
[107] 뉴스 Glitzy casinos to lure more tourists to Manila http://www.themalaym[...] 2015-03-23
[108] 뉴스 Pagcor lowers license fees for operators http://www.mb.com.ph[...] 2014-09-17
[109] 뉴스 Intramuros cocheros: Hooves, history and hope for a fare hike http://newsinfo.inqu[...] 2015-03-23
[110] 뉴스 New tourist attraction to open in Intramuros http://manilastandar[...] 2015-03-23
[111] 뉴스 Manila essence: your guide to city's contemporary art scene http://www.scmp.com/[...] 2015-03-09
[112] 웹사이트 MAP: Catholicism in the Philippines http://www.rappler.c[...] 2019-04-16
[113] 간행물 Building Bigger: World's Largest Indoor Arena Set for the Philippines https://newsfeed.tim[...] 2013-07-08
[114] 뉴스 Hanwha E&C Completes World's Largest Indoor Arena Construction in the Philippines http://koreabizwire.[...] The Korea Bizwire 2014-07-24
[115] 뉴스 NCR extends Palaro reign to 13 years http://sports.inquir[...] 2015-05-14
[116] 웹사이트 QS Asia University Rankings 2020 https://www.topunive[...] 2020-05-04
[117] 웹사이트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0 https://www.timeshig[...] 2020-05-04
[118] 웹사이트 Education http://www.nscb.gov.[...] National Statistics Coordination Board 2015-03-06
[119] 웹사이트 Statwatch – National Capital Region http://www.nscb.gov.[...] National Statistical Coordination Board 2015-03-05
[120] 웹사이트 Profile of Private Hospitals in the Philippines http://dirp4.pids.go[...] Philippine Institute for Development Studies 2015-03-06
[121] 웹사이트 The Philippine Health System at a Glance http://www.doh.gov.p[...] Department of Health 2015-03-06
[122] 뉴스 Makati, Taguig lead NCR cities in fight vs malnutrition http://www.rappler.c[...] 2015-03-23
[123] 웹사이트 Medical Tourism, Treatments and Surgery in Manila http://www.world-gui[...] World Guides 2014-10-27
[124] 뉴스 Challenges to PH medical tourism http://www.manilatim[...] 2014-10-27
[125] 웹사이트 Medical Tourism in the Philippines: Market Profile, Benchmarking Exercise and S.W.O.T. Analysis http://dirp4.pids.go[...] Department of Health 2015-03-06
[126] 웹사이트 JCI-Accredited Organizations http://www.jointcomm[...] Joint Commission International 2015-03-21
[127] 웹사이트 Hurray for St. Luke's! SLMC-GC chosen as one of the world's most beautiful hospitals http://www.stluke.co[...] St. Luke's Medical Center 2013-02-22
[128] 웹사이트 St. Luke's lands on list of world's best hospitals http://www.abs-cbnne[...] ABS-CBN News 2014-08-21
[129] 웹사이트 National Capital Region Police Office http://ncrpo.pnp.gov[...] National Capital Region Police Office 2015-03-06
[130] 뉴스 Crime incidents up by 44k with highest rate in Metro http://manilastandar[...] 2015-03-06
[131] 뉴스 Metro Manila a safer place – Roxas https://ph.news.yaho[...] 2015-03-06
[132] 뉴스 Metro Manila crime rate down http://www.philstar.[...] 2015-03-16
[133] 뉴스 PNP: Metro Manila crime rate drops by 50% http://www.philstar.[...] 2015-03-06
[134] 웹사이트 Metro Manila police precincts to use e-blotter system http://cnnphilippine[...] CNN Philippines 2015-05-10
[135] 웹사이트 Coast Guard District NCR – Central Luzon http://www.coastguar[...] Philippine Coast Guard 2015-05-11
[136] 뉴스 New AFP task force launched http://www.philstar.[...] 2015-03-07
[137] 뉴스 Fixing traffic: Jeeps eyed as feeders to bus routes http://www.rappler.c[...] 2015-03-05
[138] 웹사이트 JICA transport study lists strategies for congestion-free MM by 2030 http://www.jica.go.j[...] Japan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2015-03-27
[139] 뉴스 Japan presents $57-B 'dream plan' to solve Metro congestion http://globalnation.[...] 2015-03-27
[140] 웹사이트 Praiseworthy progress in commuter rail infrastructure https://www.manilati[...] 2021-07-13
[141] 뉴스 Deployment of 25 tunnel-boring machines signals big push for subway completion https://www.bworldon[...] 2021-07-13
[142] 웹사이트 LOOK: Gov't to build 3 more Line 2 stations https://news.abs-cbn[...] 2020-01-30
[143] 웹사이트 Tutuban Center may become Manila's busiest station http://www.abs-cbnne[...] ABS-CBN News 2015-03-21
[144] 웹사이트 NAIA is Philippines' busiest airport – NSCB http://www.interaksy[...] InterAksyon.com 2013-06-29
[145] 웹사이트 Express buses get underway on EDSA http://www.gmanetwor[...] GMA News Online 2015-05-22
[146] 웹사이트 Gov't to launch express bus system in Metro Manila http://www.bworldonl[...] BusinessWorld Online 2015-05-22
[147] 웹사이트 DOTC eyeing bus rapid transit to ease traffic in Metro Manila http://news.pia.gov.[...] 2015-03-23
[148] 웹사이트 DOTC: Metro Manila to have its first bus rapid transit operational by 2018 http://www.interaksy[...] Interaksyon 2015-03-23
[149] 뉴스 Metro Manila spent P4.2B to get rid of 2013 garbage http://www.rappler.c[...] 2015-03-06
[150] 웹사이트 Presidential Decree No. 824 November 7, 1975 http://www.lawphil.n[...] Arellano Law Foundation 2022-01-07
[151] 뉴스 Presidential Decree No. 1396, s. 1978 https://www.official[...] 2022-01-07
[152] 웹사이트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https://openstat.psa[...]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2-01-07
[153] 웹사이트 Gender and Special Population Groups; Provincial Human Development Index http://openstat.psa.[...] 2022-01-07
[154] 웹사이트 IT'S MORE FUN IN THE PHILIPPINES https://philippinetr[...]
[155] 웹사이트 메트로 세부, 메트로 다바오
[156] 웹사이트 Major Agglomerations of the World https://www.citypopu[...] City Population 2022-01-07
[157] 웹사이트 대도시권 기타 도시계획 https://www.mlit.go.[...]
[158] 논문 Flood Risk of Metro Manila Barangays: A GIS Based Risk Assessment Using Multi-Criteria Techniques https://conference.s[...] 2022-01-07
[159] 뉴스 Metro Manila is world's second riskiest capital to live in–poll http://newsinfo.inqu[...] 2022-01-07
[160] 웹사이트 Port Area Manila Climatological Normal Values https://data.gov.ph/[...] Philippine Atmospheric, Geophysical and Astronomical Services Administration 2022-03-15
[161] 웹사이트 Port Area Manila Climatological Extremes https://data.gov.ph/[...] Philippine Atmospheric, Geophysical and Astronomical Services Administration 2022-03-15
[162] 웹사이트 Filippinerne – Manila, Luzon http://www.dmi.dk/dm[...] Danish Meteorological Institute 2022-03-15
[163] 웹사이트 NAIA Pasay City Climatological Normal Values https://data.gov.ph/[...] Philippine Atmospheric, Geophysical and Astronomical Services Administration 2022-03-15
[164] 웹사이트 NAIA Pasay City Climatological Extremes https://data.gov.ph/[...] Philippine Atmospheric, Geophysical and Astronomical Services Administration 2022-03-15
[165] 웹사이트 Science Garden Quezon City Climatological Normal Values https://data.gov.ph/[...] Philippine Atmospheric, Geophysical and Astronomical Services Administration 2022-03-15
[166] 웹사이트 Science Garden Quezon City Climatological Extremes https://data.gov.ph/[...] Philippine Atmospheric, Geophysical and Astronomical Services Administration 2022-03-15
[167] 웹사이트 Annual Audit Report of the National Parks and Development Committee http://www.nationalp[...] National Parks and Development Committee 2022-01-07
[168] 뉴스 FAST FACTS: Rizal Park http://www.rappler.c[...] 2022-01-07
[169] 웹사이트 An Update on the Earthquake Hazards and Risk Assessment of Greater Metropolitan Manila Area http://www.mbc.com.p[...] Philippine Institute of Volcanology and Seismology 2022-02-09
[170] 웹사이트 Enhancing Risk Analysis Capacities for Flood, Tropical Cyclone Severe Wind and Earthquake for the Greater Metro Manila Area Component 5 – Earthquake Risk Analysis http://ndrrmc.gov.ph[...] Philippine Institute of Volcanology and Seismology and Geoscience Australia 2022-02-09
[171] 웹사이트 Land Use Classification http://www.pateros.g[...] 2022-02-09
[172] 웹사이트 An Update on the Earthquake Hazards and Risk Assessment of Greater Metropolitan Manila Area http://www.mbc.com.p[...] Philippine Institute of Volcanology and Seismology 2022-02-08
[173] 웹사이트 Enhancing Risk Analysis Capacities for Flood, Tropical Cyclone Severe Wind and Earthquake for the Greater Metro Manila Area Component 5 – Earthquake Risk Analysis http://ndrrmc.gov.ph[...] Philippine Institute of Volcanology and Seismology and Geoscience Australia 2022-02-08
[174] 웹사이트 Pateros; Land Use Classification https://web.archive.[...]
[175]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mb.com.ph[...] 2022-02-09
[176] 웹사이트 San Pedro City eyed as 18th member of MMDA Manila Bulletin Latest Breaking News News Philippines http://www.mb.com.ph[...] 2014-12-31
[177] 뉴스 Squatters to fill half of metropolis https://news.google.[...] Kamahalan Publishing Corp. 1996-01-14
[178] 뉴스 Paradox of growth https://opinion.inqu[...] INQUIRER.net 2011-12-10
[179] 논문 Unmasking the middle-class: profile and determinants https://pidswebs.pid[...]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19
[180] 웹사이트 Executive Order No. 517, s. 1979 https://www.official[...]
[181] 웹사이트 Proclamation No. 2321, s. 1983 https://www.official[...]
[182] 웹사이트 フィリピン・安全対策基礎データ https://www.anzen.mo[...] 外務省ホームページ 2018-07-06
[183] 웹사이트 All Regional Economies Grow in 2018 https://psa.gov.ph/g[...] 2019-04-25
[184] 웹사이트 Per Capita GRDP http://www.nscb.gov.[...] National Statistical Coordination Board 2013-07-25
[185] 웹사이트 Proclamation No. 2321, s. 1983 https://www.official[...]
[186] 웹사이트 2014 Global Metro Monitor Map http://www.brookings[...] Brookings Institution
[187] 뉴스 PH real estate gets boost from BPOs, hospitality, gaming, retail http://globalnation.[...] 2015-03-06
[188] 웹사이트 Metro Manila makes it to top 30 megacities list https://ph.news.yaho[...] INQUIRER.net 2015-05-22
[189] 뉴스 DOLE approves P15 wage hike in Metro Manila http://newsinfo.inqu[...] 2015-03-18
[190] 뉴스 Metro Manila minimum wage now at P481 http://www.manilatim[...] 2015-03-18
[191] 웹사이트 P25 wage hike takes effect on November 22, 2018 https://www.philstar[...]
[192] 웹사이트 The Globe Shopper Index http://www.globeshop[...] Global Blue
[193] 웹사이트 Manila 11th most attractive shopping destination in Asia Pacific –study http://ph.news.yahoo[...] Yahoo! Philippines
[194] 뉴스 Metro Manila is top overnight tourist destination–DOT http://businessmirro[...]
[195] 웹사이트 Visitor Arrival and Profile – 2012 http://www.visitmyph[...] Department of Tourism
[196] 웹사이트 PAGCOR: Entertainment City is all about entertainment and tourism http://www.abs-cbnne[...] ABS-CBNnews.com
[197] 웹사이트 Pagcor's Entertainment City seen to draw extra 1-M tourists http://www.philstar.[...] Philstar.com Business
[198] 뉴스 Economics and morals of gambling http://www.manilatim[...]
[199] 뉴스 Glitzy casinos to lure more tourists to Manila http://www.themalaym[...]
[200] 뉴스 Pagcor lowers license fees for operators http://www.mb.com.ph[...]
[201] 기타
[202] 웹사이트 MAP: Catholicism in the Philippines http://www.rappler.c[...]
[203] 간행물 Building Bigger: World's Largest Indoor Arena Set for the Philippines http://newsfeed.time[...] 2011-08-31
[204] 뉴스 Hanwha E&C Completes World's Largest Indoor Arena Construction in the Philippines http://koreabizwire.[...] The Korea Bizwire 2014-06-10
[205] 웹사이트 QS Asia University Rankings 2020 https://www.topunive[...] 2020
[206] 웹사이트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0 https://www.timeshig[...] 2020
[207] 웹사이트 Education http://www.nscb.gov.[...] National Statistics Coordination Board
[208] 웹사이트 Statwatch – National Capital Region http://www.nscb.gov.[...] National Statistical Coordination Board 2012-12-10
[209] 웹사이트 Profile of Private Hospitals in the Philippines http://dirp4.pids.go[...] Philippine Institute for Development Studies 2011-03
[210] 웹사이트 The Philippine Health System at a Glance http://www.doh.gov.p[...] 보건부
[211] 뉴스 Makati, Taguig lead NCR cities in fight vs malnutrition http://www.rappler.c[...] 2015-03-13
[212] 웹사이트 Medical Tourism, Treatments and Surgery in Manila http://www.world-gui[...] World Guides
[213] 뉴스 Challenges to PH medical tourism http://www.manilatim[...] 2014-06-01
[214] 웹사이트 Medical Tourism in the Philippines: Market Profile, Benchmarking Exercise and S.W.O.T. Analysis http://dirp4.pids.go[...] Department of Health 2013-09-01
[215] 웹사이트 JCI-Accredited Organizations http://www.jointcomm[...] 医療施設認定合同機構
[216] 뉴스 Crime incidents up by 44k with highest rate in Metro http://www.manilasta[...] 2014-06-28
[217] 뉴스 Metro Manila a safer place – Roxas https://ph.news.yaho[...] 2015-02-17
[218] 뉴스 Metro Manila crime rate down http://www.philstar.[...] 2015-03-16
[219] 뉴스 PNP: Metro Manila crime rate drops by 50% http://www.philstar.[...] 2015-03-05
[220] 웹사이트 Coast Guard District NCR – Central Luzon http://www.coastguar[...] 필리핀沿岸警備隊
[221] 뉴스 New AFP task force launched http://www.philstar.[...] 2012-07-12
[222] 뉴스 Fixing traffic: Jeeps eyed as feeders to bus routes http://www.rappler.c[...] 2015-03-05
[223] 웹사이트 JICA transport study lists strategies for congestion-free MM by 2030 http://www.jica.go.j[...] JICA 2014-09-02
[224] 뉴스 Japan presents $57-B 'dream plan' to solve Metro congestion http://globalnation.[...] 2014-04-20
[225] 뉴스 Praiseworthy progress in commuter rail infrastructure https://www.manilati[...] 2021-03-09
[226] 뉴스 Deployment of 25 tunnel-boring machines signals big push for subway completion https://www.bworldon[...] 2021-02-05
[227] 뉴스 LOOK: Gov't to build 3 more Line 2 stations https://news.abs-cbn[...]
[228] 웹사이트 Tutuban Center may become Manila's busiest station http://www.abs-cbnne[...] ABS-CBN News
[229] 웹사이트 NAIA is Philippines' busiest airport – NSCB http://www.interaksy[...] InterAksyon.com 2012-09-03
[230] 웹사이트 Express buses get underway on EDSA http://www.gmanetwor[...] GMA News Online 2015-03-23
[231] 웹사이트 Gov't to launch express bus system in Metro Manila http://www.bworldonl[...] BusinessWorld Online 2015-03-20
[232] 웹인용 Presidential Decree No. 824 November 7, 1975 http://www.lawphil.n[...] Arellano Law Foundation
[233] 뉴스 Presidential Decree No. 1396, s. 1978 https://www.official[...]
[234] 저널 Governance and Urban Development: Case Study of Metro Manila https://dirp3.pids.g[...] 1999-02-01
[235] 웹인용 The Principal Agglomerations of the World http://citypopulatio[...]
[236] 웹인용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https://openstat.psa[...]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37] 웹인용 Gender and Special Population Groups; Provincial Human Development Index http://openstat.psa.[...]
[238] 간행물 Presidential Decree No. 940 http://www.chanroble[...]
[239] 웹인용 Port Area Manila Climatological Normal Values https://data.gov.ph/[...] Philippine Atmospheric, Geophysical and Astronomical Services Administration
[240] 웹인용 Port Area Manila Climatological Extremes https://data.gov.ph/[...] Philippine Atmospheric, Geophysical and Astronomical Services Administration
[241] 웹인용 Filippinerne - Manila, Luzon http://www.dmi.dk/dm[...] Danish Meteorological Institute
[242] 웹인용 201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National Capital Region https://www.census.g[...]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243] 웹인용 National Capital Region. Total Population by Province, City, Municipality and Barangay: as of May 1, 2010 https://www.census.g[...]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of the Philippines
[244] 웹인용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45] Wikidata 2000-01-01
[246] Wikidata 2003
[247] Wikidata 2006
[248] Wikidata 2012
[249] Wikidata 2015
[250] Wikidata 2018
[251] Wikidata 2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